장수고등학교 로고이미지

학교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023-28)엠폭스(원숭이 두창) 감염 예방수칙 및 황사.미세먼지 대응요령안내
작성자 *** 등록일 23.04.18 조회수 52
첨부파일

학부모님 안녕하십니까?

보건당국에서 최근 국내 엠폭스(원숭이 두창) 환자 증가에 따라 2023413일 기준으로 국가 감염병 위기 경보를 관심에서 주의단계로 격상하였습니다. 이에 엠폭스 예방수칙 및 의심증상 발생 시 행동수칙을 안내하오니 적극적으로 준수할 수 있도록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더불어 최근 황사.미세먼지가 매우나쁨이 지속되었습니다. 황사.미세먼지 대응요령을 다음과 같이 안내하오니 건강관리에 힘써 주시길 바랍니다.

구분

내 용

정의

원숭이두창 바이러스(Monkeypox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 발진성 질환

방역이력

및 발생현황

2급감염병()

1958년 코펜하겐 국립혈청연구소가 사육 원숭이에서 첫 발견

20225월 이후 엠폭스 비풍토국인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유행하여 감염사례와 발생지역이 확대되었으며, 20226월 국내 첫 확진 사례가 보고됨

병원체

원숭이두창 바이러스(Monkeypox virus)

감염경로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 다람쥐, 프레리도그와 같은 설치류 및 원숭이 등), 감염된 사람 또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질과 접촉할 경우 감염될 수 있으며, 태반을 통해 감염된 모체에서 태아로 수직감염이 발생 가능

- (피부병변 부산물) 감염된 동물사람의 혈액, 체액, -, 점막병변과의 직.간접 접촉

- (매개물) 감염환자의 체액, 병변이 묻은 매개체(린넨, 의복 등) 접촉을 통한 전파

- (비말) , 구강, 인두, 점막, 폐포에 있는 감염비말에 의한 사람간 직접 전파

- (공기) 바이러스가 포함된 미세 에어로졸을 통한 공기전파가 가능하나 흔하지 않음

잠 복 기

5~21(평균 6~13)

주요증상

및 임상경과

발열, 오한, 림프절 부종, 피로, 근육통 및 요통, 두통, 호흡기 증상(인후통, 코막힘, 기침 등)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보통 1~4일 후에 발진 증상이 나타남

발진은 얼굴, , , , 가슴, 항문생식기 근처 등에서 나타남

- 발진은 대체로 반점부터 시작하여 여러 단계로(반점구진수포(물집)농포(고름)가피(딱지))로 진행되며 초기에는 뾰루지나 물집처럼 보일 수 있으며, 통증과 가려움증 동반하기도 함

* 임상증상이 비슷한 수두, 홍역, , 매독 등과 감별 진단 중요함

’22년 이후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발생 중인 서아프리카 계통 엠폭스는 대부분 2~4주 후 자연 치유되며, 치명률은 1% 미만으로 보고됨

* 면역저하자, 8세 미만 소아, 습진 병력, 임신 및 모유 수유자에서 중증도가 높을 수 있음

* 풍토병 국가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중앙아프리카 계통 엠폭스의 치사율은 약 10%로 보고됨

전구기(3~5일 간): 전염력이 강한 시기

진 단

검체(피부병변액, 피부병변조직, 가피, 구인두도말, 혈액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치 료

대부분 자연치료 또는 대증치료

필요시, 국가 비축 항바이러스제(테코비리마트) 치료 시행

환자 관리

표준주의, 접촉주의, 비말주의 준수

환자: 감염력이 소실될 때까지(피부병변의 가피가 탈락되고 새로운 피부형성) 1인실 격리 입원·치료

의사환자: 1인실 격리병상 배정 후 검체 채취(검사결과 시까지 격리유지)

예 방

예방접종

- 3세대 두창 백신은 효과성이 입증되어 FDA(미국)EMA(유럽)에서 두창과 엠폭스 백신으로 3세대 백신을 승인한 바 있음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감염된(감염의 위험이 있는) 사람 또는 동물과의 직간접적 접촉 피하기

감염된 환자가 사용한 물품(린넨과 같은 침구류 등)과의 접촉 피하기

의심되는 사람, 동물 또는 물건과 접촉을 한 경우, 비누와 물로 손을 씻거나 알코올 성분의 손 소독제를 이용하여 깨끗이 하기

엠폭스 발생국(장소)을 여행하는 경우, 바이러스를 보유할 수 있는 동물과의 접촉 피하기

 


이전글 (2023-29)2023학년도 졸업앨범비 납입 안내
다음글 (2023-27) 융합과학으로 배우는 '2023 행복장수 과학체험마당' 학교통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