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공지사항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감염병 대응 심리지원 교육자료 03.
작성자 *** 등록일 20.05.06 조회수 161
첨부파일
03.hwp (18.5KB) (다운횟수:89)

(격리조치 이후 학교로 복귀하는 교직원과 학생 맞이하는 방법)

 

1. 아무 일이 없었던 것처럼 행동하지 마십시오.

 

현재 감염병은 온 국민에게 큰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격리조치를 겪은 교직원과

학생들은 자신의 인생에서 예상치 못했던 아주 힘든 경험을 하고 온 상태입니다.

이런 분들을 대할 때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행동한다면 이는어려움을 표현하지

말라.”,“나는 당신의 고통에 관심이 없다.”라는 표현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제일 요한 원칙은적극적인 경청의 태도그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여주는 것

입니다

 

2. 공식적으로 감사하다는 표현을 하십시오.

 

격리에 대한 정부의 지침을 받아들이고 격리 기간을 다 마친 교직원과 학생들은 지역사회와 다수의 건강을 위해 기꺼이 불편함을 감수하신 분들입니다. 따라서 학교의

대표인 교장 선생님이나 선생님들께서 공식적으로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는 것이 학교 전체의 안정된 분위기를 조성해 나가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학교에 널리 알려져 있는 상황이라면 공개적으로 감사를 표현하십시오.

현재 감염병은 온 국민에게 큰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격리조치를 겪은 교직원과

학생들은 자신의 인생에서 예상치 못했던 아주 힘든 경험을 하고 온 상태입니다.

이런 분들을 대할 때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행동한다면 이는어려움을 표현하지

말라.”,“나는 당신의 고통에 관심이 없다.”라는 표현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제일 요한 원칙은적극적인 경청의 태도그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여주는 것

입니다.

학급 단위로 담임교사가 그 학생에게 감사의 말을 하는 것도 학생들에게는 모범

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들은 특별히 감사를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3. 낙인 효과에 대한 걱정을 줄여 주십시오.

 

격리 후 일상으로 복귀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사회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어쩌

나 하는 두려움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이 정상적인 반응이라는 것을 인정하

고 배려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격리 조치를 경험한 교직원과 학생들은 감염이 된 환자의 상태가 아니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하십시오.

이제는 전염 위험성이 없어서 복귀한다는 사실을 격리되었던 교직원과 학생이

복귀하기 전에 다시 한 번 전체적으로 알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누구든지, 심지어는 어른이라도 격리 조치를 경험하면 분노, 우울, 불안, 외로움,

공포, 슬픔 등의 감정이 생길 수 있음을 알리십시오. 나이가 어릴수록 이러한

감정은 더 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감정은 격리 조치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이지만 일상생활로 돌아오는

것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다 같이 지지하고 도와주는 것이 필요함을 널리 알리십시오.

 

4. 고립되었다고 느끼지 않고 소속감을 가질 수 있게 도와주십시오.

 

이전의 일상생활로 돌아가기는 하겠지만 아직은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시기라는

점을 잊지 마시고 적어도 2주 정도는 배려해 주십시오. 사람에 따라서 그 시기가 좀 더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전의 모습으로 돌아오는 데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기다려 주십시오.

학교로 돌아온 후 격리 조치기간 동안 느끼거나 경험한 점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는 것은 경험을 공유할 수 있게 해 주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격리를 경험했던 교사나 학생들이 복귀하여 일상에서 자기 뜻대로 조절할 수

있음을 체감하게 하려면 작은 일에서라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원하는 것을

물어보십시오. “신체적으로 힘들면 보건실에 가 있어도 좋아.”, “네가 안전하다고

느끼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필요할까?”, “힘들면 언제든지 이야기 해도 된단다.”

등의 질문을 통해 신체적, 정서적으로 어떤 요구를 갖고 있는지, 안전을 위해서

는 어떤 도움을 필요로 하는지 물어보고 스스로 선택하게 한다면 심리적으로 안

정감을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5. 존중하는 태도와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주십시오.

 

상대와 대화할 때는 서로 편하게 느낄 정도의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눈을

맞추면서 이야기 하십시오. 말로는 괜찮다고 하면서 감염이 될까봐 피하는 태도

는 상처가 될 수 있습니다.

감염이 유행하는 시기에 필요한 일반적인 예절, 기침 예절, 손 씻기는 강조하시

되 그렇게 해 주길 요청해야 하는 경우에는 조심스럽게 양해를 구하십시오.

부탁할 일이 있으면 정중히 하고 감사의 인사를 표현하고 되도록 긍정적인 언어

를 사용하도록 하십시오.

특별한 조치들, 예를 들어 악수 하지 않기, 상대방과 세 걸음 이상 떨어져서

말하기, 회식과 같은 모임을 자제하기 등과 같은 조치가 필요하다면 미리 전체

에게 알리고 왜 이러한 조치를 취하는지, 언제까지 할 것인지 등 이유와 기간도

설명하십시오 .

지금은 이러한 시기가 지나가는 과정에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상황이 나아질 것

이라는 점을 전달하십시오.

 

 

참고 문헌

􄤎https://www.colorado.gov/pacific/sites/default/files/OEPR_Influenza-quarantineisolation-

Field-Guide-2010.pdf

이전글 감염병 대응 심리지원 교육자료 04.
다음글 학부모가 감염병에 대해 자녀들과 이야기하는 방법(감염병 대응 심리지원 교육자료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