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공지사항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에볼라바이러스병
작성자 *** 등록일 14.08.27 조회수 880

에볼라바이러스병(Ebola Virus Disease, EVD)

    

1. 개요

1976년 아프리카의 콩고공화국에서 처음 확인된 인간을 비롯한 영장류의 심한,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감염증.

 

FAQ

Q1 > 에볼라바이러스병(Ebola Virus Disease, EVD)이란 무엇인가요?1976년 아프리카의 콩고공화국에서 처음 확인된 인간을 비롯한 영장류의 심한,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감염증입니다.

에볼라 바이러스에 의해 생기며, 감염된 후 수 일내에 고열, 두통, 근육통, 설사 등의 증상이 생기고 1주일 후에는  일부에서 통이 생기거나 범발성 혈관 내 응고병증(DIC), 다발성 장기부전 등에 의해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병으로, 보존적 치료법 이외 특별한 백신이나 항바이러스제가 없는 병입니다.

 

Q2 > 에볼라바이러스병은 어디에서 발생하는 질환인가요?콩고, 가봉, 코트디부아르, 우간다 등 아프리카에서만 자연적으로 발생한 환자가 있었습니다. 미국, 이탈리아, 필리핀 등에서  실험 동물의 에볼라열 발생이 있었으며, 영국에서도 실험 도중 바늘에 찔려 에볼라열에 걸린 사례가 있습니다.

 

Q3 > 예볼라바이러스병은 어떻게 전파되나요?우연히 감염된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으로 보이며, 자연 병원소는 박쥐 또는 영장류 등 포유류로 추정되지만 명확히 규명되지는 않는 상태입니다.

일단 감염된 사람과의 밀접한 접촉이나 주사바늘을 공유함으로써 남에게 전파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실제 사람들에게 공기중 전파에 의한 감염 사례는 없습니다.

 

Q4 > 에볼라바이러스병에 걸리면 어떤 증상이 생기나요?갑작스럽게 발열, 권태감, 근육통, 두통이 나타나고, 2-3일 후에 인두염, 구토, 설사, 반점상 구진이 생깁니다. 일부에서는 1-2일후에 출혈경향이 나타나며, 간부전, 신부전, 중추신경계 증상, , 범발성 혈관 내 응고병증 (DIC)에 빠져들어 다장기부전으로 증상 발생 후 7-10일 사이에 사망합니다. 혈액검사에서는 간기능 이상, 혈소판 감소, 림프구 감소 등의 소견을 보입니다.

 

2. 원인

원인 병원체병원체는 Filoviridae ()의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

에볼라 바이러스는 지역에 따라 항원성이 다르며, Ebola-Zaire, Ebola-Sudan, and Ebola-Ivory Coast는 사람에게 병을 일으키는 종들이고 Ebola-Reston는 사람에는 질병을 일으키지 않음.

바이러스의 정확한 기원, 자연 병원소 등은 알려져 있지 않음.

다만, 동물에게서 사람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전염병으로 추측하고 있음.

 

 

3. 감염경로

병원소는 불분명하며, 혈액, 분비물, 정액 등 체액을 통해 사람 사이에서 직접 전파되며, 열악한 의료환경에서 병원 감염이 많이 발생.

 

4. 진단

환자검체(조직, 정액, 소변 등)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함.antigen-capture ELISA로 항원 검출함.IgM · IgG-capture ELISA로 항체를 검출함.중합효소연쇄반응법으로 유전자를 검출함.

 

5. 치료

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며, 최근 환자들은 보존적 대증치료를 받고 있음.

예방자연 병원소가 알려져 있지 않아 예방을 위한 특별한 대책은 없는 실정임. 다만,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환자의 체액이나 가검물과 접촉하지 않는 것이 중요함.

병원 내 전파를 막기 위해 철저한 방어 수단 및 기준을 지켜야 함.

아직까지 효과적인 예방접종은 없음.

 

6. 역학적특성

잠복기는 2-21일간이며, 혈액이나 분비물에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한 전염력이 있음. 수단에서 환자 보호자의 30%가 감염되었지만, 가정생활 중 접촉한 사람은 대부분 감염되지 않았음. 누구나 감염됨

 

7. 질병발생사례

발생현황 및 통계1976년 수단과 자이레에서 최초로 확인된 이래 수단, 가봉, 콩고, 우간다 등에서 유행이 발생함.

세계보건기구는 에볼라 바이러스가 발견된 이래, 대략 1850명 정도의 환자가 발생하여 1200명이 사망했다고 밝힘.

현재 국내의 경우, 발생 보고 없음.

 

 

8. 의심환자 신고

1. 환자, 의사환자 신고시기 : 󰁾 즉시 신고함.

2. 진단 기준환자 :에볼라열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보이면서, 다음 검사방법 등에 의해 해당 병원체감염이 확인된 자 검체(조직, 정액, 소변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검체에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검체에서 바이러스 항원 검출 IgM, IgG 항체 검출 검체(피부조직)Immunohistochemistry법에서 양성.

3. 의사환자: 임상적 특징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에볼라열임이 의심되나 검사방법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되지 아니한 자.

 

 

이전글 2014 학생 커리어 포트폴리오 작품 대회 실시
다음글 '성범죄자 알림e' 스마트폰 앱 제공 서비스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