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계획적인 생활설계를 통한 주체적인 삶의 영위 주체적인 생활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의 정착 일상의 생활에 대한 자기성찰의 기회 확보 생활스케치 점검을 통한 교사의 학생에 대한 이해 심화 장기적인 생활 설계를 통한 이상의 실현
방 침 매일 수업과 쉬는 시간 및 여유시간에 대한 설계를 하고 매 시간을 학생스스로 평가한다 장기 계획을 세울 때 교사는 학생 개개인이 적절한 학습량과 시간을 배 분하도록 지도 학생의 생활스케치 계획 작성은 전적으로 자율적인 것이어야 한다. 학생의 계획 불이행의 원인 및 계획의 적절성을 스스로 성찰하게 하고 그 개선 방법에 대해 서도 학생 스스로 찾아내게 한다 생활계획에는 학습에 대한 계획뿐만 아니라 휴식 및 여가 등 모든 활동을 포함한다 교사는 학생이 장.단기 생활계획을 수립할 때 변수가 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사전에 제공한다 (예:수행평가 시기 및 내용, 학사일정 등)
평가 환류 생활스케치 검사는 담임(1학년)이나 학생이 원하는 교사(2, 3학년)가 상담식 검사를 통하여 월 2회 아래 평가표 등에 의해 검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담임교사의 상담식 검사는 계획의 내용과 학습의 양이 아니라 계획의 치밀함과 실행여부가 지도 및 검사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교사의 생활스케치 검사 결과는 관련교과의 수행평가 점수로 일부 반영하여 학생들의 생활스케치 작성 습관의 정착을 돕는다 평가결과는 1학년 한국사 과목 수행평가에 5점을 반영하되 학급 간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