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개 | (1) 문벌 사회의 갈등 - 문벌 형성: 여러 대에 걸쳐 재상 등 고위 관료를 배출한 가문 형성(문벌) → 서로 혼인 관계를 맺어 지위 유지 → 문벌 간의 경쟁 심화 - 이자겸의 난(1126): 경원 이씨가 유력한 외척 가문으로 성장 → 이자겸의 권력 독점 → 인종과 측근 세력의 공격 → 이자겸과 척준경의 반란 → 인종이 척준경을 포섭하여 이자겸 제거 → 척준경 축출 - 서경 천도 운동(1135): 서경 출신의 묘청 등이 서경 천도와 금 정벌 주장 → 정부 관료 대부분이 반대 → 묘청 등이 서경에서 반란 → 정부군에 의해 진압됨
(2) 무신 정변 - 배경: 문신과의 차별 대우에 대한 무신들의 불만, 군인전 미지급으로 인한 하급 군인들의 불만 - 무신 정변(1170): 정중부, 이의방 등 무신들이 정변을 일으켜 문신들을 제거하고 왕을 교체 - 무신 정권 수립: 무신들이 주요 관직 차지, 중방 중심의 정치 운영 → 무신 간의 권력 다툼으로 최고 집권자가 자주 바뀜(이의방 → 정중부 → 경대승 → 이의민)
(3) 최씨 정권 - 최씨 정권 수립: 최충헌이 이의민 제거 후 권력 장악 → 이후 4대 60여 년간 최씨 가문이 정국 주도 - 최씨 정권의 주요 기구 ? 교정도감: 국정 운영의 최고 기구 ? 도방: 무신들의 사병 집단 → 신변 보호 강화 ? 삼별초: 좌·우별초와 신의군으로 구성, 최씨 정권의 사병 역할 ? 정방: 최우가 설치 → 인사권 장악
(4) 무신 정권기 농민과 천민의 봉기 - 배경: 지배 체제의 문란으로 수탈 심화, 신분 상승에 대한 기대감 - 대표적 봉기 ? 망이·망소이의 봉기(1176): 공주 명학소에서 시작, 충청도 일대 점령 ? 김사미와 효심의 봉기(1193): 경상도에서 세력을 떨침 ? 만적의 난(1198): 신분 해방 운동 | [강의 학습] 문벌의 형성 과정과 문벌 세력 간의 경쟁을 설명한다.
[자료 학습] 왕실과 경원 이씨 가문의 혼인 관계’ 도표를 통해 이자겸이 권력을 독점하게 된 배경을 파악해 보게 한다.
[강의 학습] 무신 정변이 일어나게 된 배경과 무신 정권의 수립 과정을 설명한다.
[자료 학습] ‘무신 집권자의 변천과 지배 기구’ 도표를 통해 각 시기별 지배 기구와 성격을 파악해 보게 한다.
[자료 및 발표 학습] 45쪽 ‘만적의 난’ 사료를 읽고 이러한 신분 해방 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을 무신 정권의 변천과 연결 지어 발표해 보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