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개 | (1) 고려의 유연한 외교 정책 - 10~12세기 동북아시아의 정세: 송 등장(960) → 거란이 일어나 발해를 멸망시키고 송·고려와 대립 → 여진이 금 건국(1115) - 고려와 송의 경제·문화적 교류 고려 | 송의 선진 문물 수용, 발해를 멸망시킨 거란 견제 목적 | 송 | 거란과 대립하는 상황에서 고려와 친선 관계 유지 |
- 고려의 유연한 외교 정책: 송 및 북방 민족 사이에서 세력 균형 → 고려가 스스로를 동북아시아 속 또 하나의 국제적 중심(해동 천하)으로 여겼기 때문에 가능
(2) 거란의 침략과 격퇴 - 거란의 침략 1차 침략 | 거란이 송을 공격하기에 앞서 고려를 먼저 침략 → 서희의 담판(압록강 동쪽 지역 확보) | 2차 침략 |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침략 → 양규의 활약 | 3차 침략 | 압록강 동쪽으로 세력 확대를 위해 침략 → 강감찬의 귀주 대첩(1019) |
- 영향: 개경에 나성 축조, 압록강~영흥~동해안에 천리장성 축조 → 북방 세력의 침략에 대비
(3) 여진 정벌과 동북 9성 설치 - 고려의 여진 정벌: 12세기 초 부족을 통일한 여진이 고려 국경 침범 → 윤관이 별무반을 이끌고 여진 정벌 → 동북 9성 설치 → 여진의 계속된 침략 → 조공을 약속받고 동북 9성 반환 - 여진의 성장: 여진의 금 건국 → 고려에 군신 관계 요구 → 당시 집권자였던 이자겸이 금의 요구 수용 | [강의 및 자료 학습] 동아시아의 정세’ 지도를 보면서 10~12세기 동아시아의 정세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자료 학습] 역사 읽기를 통해 당시 고려가 유연한 외교 정책을 펼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독자적인 천하관(해동 천하)에 있었음을 파악하게 한다.
[발표 및 강의 학습] 거란의 침략과 고려의 격퇴 과정을 순서대로 정리하여 발표해 보게 한다. 그런 다음 ‘거란의 침략과 격퇴’ 지도를 통해 확인하면서 교사가 미진한 부분을 보충 설명한다.
[강의 학습] 고려와 여진(금)의 관계가 변화하게 된 배경을 당시 정세와 관련 지어 설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