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개 | (1) 중앙 정치 제도 - 2성 6부제: 당의 3성 6부제 수용, 고려의 실정에 맞게 고쳐 운영 → 중서문하성(정책 계획·결정), 상서성(6부를 통해 정책 집행) - 중추원(왕명 출납, 군사 기밀), 어사대(관료 감찰), 삼사(회계) - 도병마사(국방과 안보 문제), 식목도감(각종 법률 제정): 중서문하성의 재신과 중추원의 추밀들이 모여 국가의 중요 정책을 결정하는 회의 기구 - 대간: 중서문하성의 낭사와 어사대의 관원들 → 국왕에게 간언, 관료 탄핵 - 전시과: 문무 관료 등에게 수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전지(농토)와 시지(임야) 지급
(2) 지방 행정 제도: 성종 때 정비 시작 - 조직 5도 | 일반 행정 구역, 안찰사 파견 도 아래 주·부·군·현 설치 → 지방관 파견 | 양계 | 군사 행정 구역, 병마사 파견 | 향·부곡·소 | 특수 행정 구역, 주현 수령을 통해 지배 |
- 운영 - 군과 현에 수령 파견 → 호족들은 수령을 보좌하는 향리로 변화 - 주현(수령 파견), 속현(수령 파견되지 않음, 주현 수령을 통해 지배)
(3) 군사 제도 중앙군 | 2군(국왕 친위 부대), 6위(수도 경비와 국경 방어) 직업 군인과 평민으로 편성 | 지방군 | 주진군(양계), 주현군(5도의 군현) 농민 중에서 16세~59세까지의 장정들로 구성 |
(4) 관리 등용과 교육 제도 - 관리 등용 제도 과거 | 양인 신분 이상이면 과거 응시 가능 | 음서 | 공신이나 고위 관료의 자제들을 과거를 거치지 않고 관직에 임용 |
- 교육 제도: 관리 양성과 유학 교육 → 개경에 국자감(국학), 지방에 향교 설립 → 고려 중기에는 사학 12도 번성 | [강의 및 자료 학습] ‘고려의 중앙 정치 기구’ 도표를 보면서 해당 내용들을 설명한다. 특히 고려만의 독자적인 특성이 있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발표 학습] 대간의 존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사실이 무엇인지 발표해 보게 한다.
[강의 및 자료 학습] ‘고려의 지방 행정 조직’ 지도를 보면서 해당 내용들을 설명한다.
[발표 학습] 수령의 파견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발표해 보게 한다.
[강의 학습] 중앙군과 지방군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발표 학습] 과거와 음서의 공존이 지니는 의미가 무엇인지 발표해 보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