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개 | (1) 삼국의 유학 수용과 역사서 편찬 1 유학 수용: 인재 양성, 충·효·신 등의 규범 장려 역할 고구려 | 태학 설립(유교 경전과 역사서 교육), 경당 설치(한학과 무술 교육) | 백제 | 오경박사(유교 경전 교육) | 신라 | 임신서기석(유교 경전 공부) |
2 역사서의 편찬: 국내의 안정 도모, 왕실의 권위 고양 고구려 | 『유기』 100권 → 『신집』 5권(영양왕 때 이문진이 편찬) | 백제 | 『서기』(근초고왕 때 고흥이 편찬) | 신라 | 『국사』(진흥왕 때 거칠부가 편찬) |
(2) 통일 신라의 유학과 학문 1 유학의 발달 -국학 설립(신문왕): 유학 교육 기관, 학문 장려 -독서삼품과 실시(원성왕): 유교 경전의 이해 수준을 시험 2 문장가들의 활약 김대문 | 『화랑세기』, 『고승전』 저술(신라의 전통과 문화를 주체적으로 인식) | 강수 | 외교 문서를 잘 지음 | 설총 | 경전에 조예가 깊음, 이두 정리 | 최치원 | 빈공과 합격, ‘토황소격문’으로 이름을 떨침 |
(3) 발해의 유학과 한문학 1 유학의 발달 -6부의 명칭: 유교 덕목 사용 -주자감 설치: 유교 경전 교육 -정혜 공주와 정효 공주의 묘지: 유교 경전의 내용 인용 2 한문학의 발달 -정효 공주의 묘지나 함화 4년명 비상의 문장 -양태사의 시 | [강의 학습] 삼국의 유학 수용과 유학이 당시 사회에 끼친 영향을 설명한다.
[자료 학습] ‘임신서기석, 유학을 공부하기로 맹서하다’ 사료를 통해 신라의 유학 수용 사실과 유학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문답 학습] ‘삼국 시대 역사서가 편찬 된 시기의 공통점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통해 역사서의 편찬 목적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강의 학습] 통일 신라가 유교의 정치 이념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려 했음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자료 학습] ‘독서삼품과’ 사료를 통해 관리 선발 과정에서 유교 경전의 이해 수준을 시험한 의미를 생각해 보게 한다.
[자료 학습] 역사를 만든 인물을 통해 6두품 출신이 골품제를 기반으로 한 신라 사회에 대해 반감을 갖고 개혁을 꿈꿨음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