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년 3반

  • 선생님 :
  • 학생수 : 남 0명 / 여 0명

인간 실격 (다자이 오사무) / 2학기 (공통)

이름 이우진 등록일 22.02.03 조회수 21

인간 실격을 제대로 마주하게 된 것은 류준열 배우를 통해서였다. 제목 정도는 익히 들어 알고 있었지만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배우 중 한 명인 류준열 씨가 최근 동명의 드라마에 출연했기에 궁금증이 들어 읽어보게 되었다. 주인공인 요조의 어린 시절이야기가 작품 초반에 서술되는데 그때까지는 나와 꽤나 닮았었다 느꼈다. 누군가를 위한 한 명의 광대가 될 정도로 눈치를 많이 보고 감정마저 맞춰줬다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나와의 관계에 속해있는 사람들을 대할 때 그들의 감정이 어느 정도 느껴졌고 미움 받지 않는 방법을 깨달았다. 이러한 사고방식을 통해 나는 남들과는 다르다고 느꼈다. 내가 아닌 나를 만들어내는 데에 능통했고 덕분에 사교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요조도 비슷했다. 하지만 이야기가 점점 전개되며 이런 생각은 싸그리 사라졌다. 우리의 출발점은 비슷했을지도 모른다. 다만 대전제로 깔려있던 것이 인간에 대한 견해였던 것 같다. 요조는 인간들의 위선, 작위적인 모습을 부정적으로 인식했고 그들의 눈치를 보며 인간인 척을 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이 인간들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요조가 비인간적인 모습이 드러나는 부분들이 있는데 제 1수기 때는 인간의 추악한 면을 인지하고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유년기의 요조는 그런 의미에서 비인간적이었다면 청년이 된 요조의 비인간적인 모습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인간적으로 금지된 타락함에서 행복을 느끼는 점이다. 그는 술과 담배, 매춘부, 마약 등 우리 인간들이 배척하고 부정한 것으로 여기는 것들에 빠지며 비로소 인간임을 느낀다. 요조의 이야기는 저자인 다자이 오사무의 인생과 많이 닮았다. 몇 차례의 자살 시도와 불순한 여자 관계, 심지어 책의 시작을 여는 사진 세 장은 다자이 오사무의 사진이라고 한다. 추가적으로 요조가 생각하는, 즉 다자이가 생각하는 반의어의 개념은 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인간 실격은 인간성과 비인간성이라는 대분류를 기반으로 한 여러 메타포가 등장한다. 예를 들면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을 떠올리며 을 유의어가 아닌 반의어로 규정한 점, 요조에겐 여성과 신뢰, 순결 등이 안녕을 선사하는 것들이었지만 이 조건들을 충족했던 요시코의 불륜은 인간들의 인간성 상실을 보여준다. 결국 책의 주제는 비정상으로 분류되는 요조와 이에 반대되는 사람들 중 누가 정말 인간다운가이다. 다자이의 작품은 변형된 자전적 소설이 많기에 그가 정말 이런 의도를 가졌다기 보다는 일생을 괴롭혔던 복잡한 사고가 인간의 내면적 갈등, 현대 사회의 비인간성 등의 문제가 나타나는 더 복잡한 사회와 맞물렸는지도 모른다. 스스로를 인간 실격이라 칭하며 항상 대척점에 있던 다자이의 삶은 외롭고 쓸쓸한 현대인과 많이 닮았다. 과연 인간다움이 무엇인지, 우리는 정말 인간다운지를 생각하게 했던 작품이다.

이전글 20320 정민영
다음글 20318 이성곤
답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