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생들과 나눈 대화  한마디 한마디가 이번 전시 회 작품의 소재가 됐습니다. 미술시간에 학생들이 종이에 그림 을 그리고, 찰흙을 만져 동물모양을 만들고 도자기 도 빚는다. 이렇게 완성된 작품이 전시돼 많은 사람들과 만난다. 학생들은 작가의 입장에서 전시회 에 다녀간 사람들이 남긴 감상평을 손끝으로 찬찬히 읽는다. 칭찬과 격려 속에 마음이 더욱 단단해진다. 이 학생들은 맹아학교에 다니고 있다.  2014년 12월에 처음 대중과 만난 ‘도마뱀이 된 코끼리’ 전시회가 20일 세번째 이야기를 들고 전주 한옥 마을에 찾아왔다. 2년 전 이 전시회를 기획해 이끌어 온 전북맹아학교 정문수 교감(46)은 “시각장애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세계가 늘 궁금했다”고 말했다. 20일 오전 전주 한옥마을 공예품전시관 에서 만난 정 교감은 “학교는 익산에 있지만 학생들의 작품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선보이고 싶어 전국에서 관광객들이 찾는 전주 한옥마을에 전시 공간을 마련했다”며 오픈 준비로 분주한 전시회장을 흐뭇한 표정으로 둘러봤다. 전시회는 20일부터 26일까지 열린다. 정 교감은 전시회 타이틀에 대해 “예전에 한 시각장애 학생이 찰흙으로 코끼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몸통이 길쭉해지는 바람에 도마뱀 모양이 된 적이 있다”며 “코끼리가 도마뱀이 되더라도 학생들이 느끼는 바를 자유롭게 표현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유치부에서 고등부까지 운영 되는 이 학교 전체 학생의 반절이 넘는 37명이 작가로 참여해 회화 33점과 조소  140점을 전시한다.  정 교감은 “지난해 작가로 참여한 학생들에게 관람객들이 남긴 감상평을 점자로 인쇄해 전달했다”며 “어른부터 아이까지 자신이 만든 작품에 관심을 가진다는 걸 알고 학생들이 조금씩 달라지는 모습을 봤다”고 말했다. 정 교감은 “미술 선생님 도 있지만 ‘색 감정’을 가르치는 시간이 가장 힘들었다”며 “교과서에 나온대로 ‘빨강은 정열, 파랑은 냉정을 상징한다’고 아이들에게 설명을 했지만, 태어나면서부터 앞을 보지 못한 학생들이 그 개념을 이해하는데는 분명 무리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회적 약속’이라고 이야기하면서도 스스로가 틀에 갇혀있는 게 아닌지 늘 고민했다고 한다. 정 교감은 “교사가 먼저 깨어 있어야 학생들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다”며 “그래야 학생들도 마음을 열고 가능성을 맘껏 뽐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평소 학생들과 이야기를 많이 나누려고 한다”며 “그 대화 하나 하나가 이번 전시회 작품의 소재가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학교 내 저시력 지원센터 등에서 학생들이 도움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다”며 “시각 장애 학생들이 사회에서 위축되지 않고 재능을 살려 열심히 나아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