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이란 무엇인가 ?밖에 나가(주로 식당에서) 밥을 먹는 것. 법률상의 정의를 빌리면, 가정에서 취사(炊事)를 통하여 음식을 마련하지 아니하고 음식점 등에서 음식을 사서 이루어지는 식사형태를 말한다(외식산업 진흥법 제2조 제1호).
늘 먹던 음식이 아닌 새로운 음식을 먹어 좋고, 요리와 설거지를 하지 않아 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많이하면 몸[1] 뿐만 아니라 집 경제에도 많은 타격을 입힌다. 캠핑 중 조리하거나 남의 집에서 밥을 얻어먹는 것은 외식이라 칭하지 않는다. 한국은 역사/ 환경적인 영향[2]으로 인해 외식 산업 자체가 늦게 발달한 편이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국밥과 주막 항목을 참조해보면 좋다. 물론 당대에도 절이나 주막에서 외식을 하는 경우는 종종있었지만[3] 조선시대에 외식이 활성화된 시기는 대체로 정조대 즈음으로 손꼽히는데 영조대에 금주령이 수십 년 이상 시행되어 술집들이 영업하지 못하여 외식의 활성화가 이루워지지 못했다가 정조대에 금주령이 풀리면서 술집들이 성행 했기 때문이다.
1970년대 이전도 외식했던 사람은 외식했지만 외식비가 그리 싸지 않았던 탓에 되도록 집밥을 먹는 것을 권장했다. 외식이라고 해도 한식집이나 중식집, 분식집을 주로 갔고, 경양식집이나 전기구이 통닭집 같은 경우에는 큰 맘 먹고 가야했던 곳이다. 물론 그 시절에도 술집 문화는 발달해서 외식 개념이 아주 없던것은 아니었지만 가족단위 외식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러다가 소득 수준이 점차적으로 향상 되면서 1980년대 들어서 패스트푸드점과 피자집이 본격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했다.1990년대 들어서는 패밀리 레스토랑이 등장하고 전통 일식집이 확산되기 시작했지만 그래도 이전의 영향이 남아있다보니 "외식한다"라고 하면 가족 단위로 경양식 레스토랑이나 고기집에 가서 평소 먹을 수 없었던 별미를 먹는 것이 연례 행사 였다. 2000년대 들어 핵가족화 되고, 1인 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끼니를 사서 때운다는게 일상화 되어 "외식"이라는 단어의 사용 빈도가 점점 줄어들고 대신 집에서 해먹는 밥을 "집밥"이라고 부르는 상황 역전이 되어 버리고 말았다.
맞벌이 가정이 급속도록 늘어나며 가정에서 요리 노동이 줄어들어 국과 반찬까지 주문해서 사먹는 지경에 이르렀고 대신 조미료를 덜 쓰고 별미가 별로 없는 평범한 집밥 스타일에 대한 그리움을 표하는 세태가 늘어나자 "집밥"을 컨셉으로 하는 식당과 마케팅이 유행하게 된다. 그래서 밖에서 사먹거나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간단히 사서 먹는 것을 지양하고[4]직접 자신이 손수 재료를 손질하여 요리 노동을 한 후 정갈하게 차려먹는 행위를 "나를 스스로 대접한다"라는 개념으로 해석되어 이런 과정을 즐기는 1인 가구도 늘어났다.
현재와서는 내식적외식(집에서 만들어 밖에서 식사), 외식적내식(외부 음식을 집안으로 가져와 식사[냉동식품도 포함된다]),외식적외식(흔히 생각할 수 있는 밖에서 식사) 등이 있으며 외식의 범위가 크게 늘어나서 한 범위로 규정하기엔 조금 어렵다.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는 외식으로는 한식당, 중식당, 일식당, 양식당 등이 있다. 특히 외식하면 양식당부터 떠올리는 사람이 적지 않은 편.
중화권이나 동남아에서는 옛날부터 외식 문화가 매우 발달되어 있어 아침부터 저녁까지 외식을 하는 일이 일상화 되어 있다.[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