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로매쓰

수학을 학문적 가치와 더불어 체험 활동탐구 활동을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봄으로써 수학적 창의력사고력 증진.


▷수학 교구를 이용한 체험 학습 (오더리 삼각형, 오더리 사각형, 마름모 삼십면체-정십이면체 위에 정이십면체, 파라코드 매듭 팔찌, 아이큐 퍼즐, 케플러-푸엥소 오목다면체, 세팍타크로 공, 토러스 링 등) 

 

보드 게임 속에 적용된 수학 원리 파악 (아발론, 스플렌더, 퍼펙션 게임, 트라이앵글 메이커, 스키왐푸스, 상호지지 구조물 만들기 등)

 

창의력 문제 같이 풀기, 멘사코리아 문제 풀기, 스도쿠, 가로쿠, 노노그램 등 

다양한 수학교구를 이용한 체험학습 및 수학 체험전 참가

수학계의 노벨상, '필즈상과 아벨상' (2-2 장*승)

이름 장한승 등록일 20.11.15 조회수 145

<필즈상>


4년마다 열리는 세계 수학자 대회에서 수여되는 상으로 수학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이라 불린다. 매 4년 마다 두 명에서 최대 네 명까지 수상할 수 있으므로, 평균적으로 1년에 단 1명만 수상할 수 있다. 노벨 수학상이 없는 것을 안타까워 했던 캐나다 토론토 대학의 수학 교수인 존 찰스 필즈가 노벨상에 버금가는 수학상을 만들고 싶어했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필지는 제 7차 세계수학자대회의 조직위원장을 맡아 기금 모금에 헌신적인 노력을 가하여 이 대회를 흑자대회로 만들고, 남은 2,700 캐나다 달러를 기본 재원으로 하여 국제적인 수학상을 제정하고자 했다. 1932년 필지는 갑장스러운 심장마비로 대회를 한 달 앞두고 세상을 떠났다. 세상을 떠나기 전 그는 그의 재산 47,000 캐나다 달러를 상의 기금으로 기부하였고, 필즈의 이런 노력으로 취리히 대회에서 상이 제정되었으며 필즈상이라 명명되었다. 

필즈상의 기반은 "지금까지 쌓아온 업적을 기리며, 동시에 앞으로 더 크게 쌓아가도록 격려하며, 다른 수학자들의 분발을 촉구하는 상"으로 필즈가 남긴 메모를 바탕으로 결정되었다.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로는 필즈의 메모 뜻을 '젊은 수학자에게 주는 상'으로 해석하여 필즈상에서는 순수수학 분야의 40살 미만 수학자들을 대상으로만 수상을 진행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희소성 때문에 영예로운 상으로 꼽히기도 하고, 아벨상과의 차이점이나 한계점으로 꼽히기도 한다.

이 40세 조건과 4명 조건을 둘 다 깨버린 사람이 딱 한명 있는데, 바로 어릴 적 꿈이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증명을 이뤄낸 앤드루 와일스다. 43세에 수상했으며, 이미 수상자로 예정된 4명 이외에 별도로 '특별상'을 받았다. 필즈상은 최대 4명까지 수상되고 이미 4명의 정식 수상자가 있으므로 와일스 교수는 정식 필즈상 수상자가 아니라고 볼 수도 있으나, 그 반대로 와일스 교수에게 필즈상을 넘어선 특별한 필즈상을 수여했다고 해석하는 게 타당할 것이다. 

 102784623 media... 필즈상 매달. 초상은 아르키메데스이다.                             John charles fie... 

필즈상을 만든 존 찰스 필즈 (John Charles Fields) 

 

<아벨상>

 

아벨상은 필즈상보다 한참 뒤에 등장한 권위있는 상이다. 5차방정식의 불가해성을 증명한 노르웨이 수학자 아벨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2002년에 제정된 상으로 수상자 후보 추천, 결정은 노르웨이 학술원에서 지명한 아벨위원회가 맡게 된다. 이 아벨위원회는 국적에 관계없이 저명한 수학자 5명으로 이루어지며 임기는 2년, 1번 연임할 수 있다. 

아벨상은 역사가 짧으나 수학자들 사이에서는 '진짜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유명하다. 필즈상의 상금이 1만 달러에 그치고, 40세 미만의 젊은 순수 수학자에게 4년에 한 번만 수상을 한다는 한계점에 대하여, 연령 제한 없이, 모든 수학 분야 즉, 순수/응용 분야 모두에 주어지는 권위있는 상을 제정하자는 움직임이 생겨나 아벨상이 탄생하게 되었다. 아벨상은 "수학자가 일생동안 쌓아온 업적을 바탕으로 수상"을 하기 때문에 수상자들의 나이가 많다는 특징이 있다.

external/upload....

닐스 헨리크 아벨 (Niels Henrik Abel)


https://namu.wiki/w/%ED%95%84%EC%A6%88%EC%83%81

https://namu.wiki/w/%EB%8B%90%EC%8A%A4%20%ED%97%A8%EB%A6%AC%ED%81%AC%20%EC%95%84%EB%B2%A8?from=%EC%95%84%EB%B2%A8%EC%83%81#s-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7477&cid=43667&categoryId=43667 

 

이전글 범죄를 수사하는데 사용되는 수학 (2-1 강*수)
다음글 세계 7대 수학 난제 중 유일하게 해결된 '푸앵카레의 추측' (2-2 장*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