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을 학문적 가치와 더불어 체험 활동, 탐구 활동을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봄으로써 수학적 창의력, 사고력 증진.
▷수학 교구를 이용한 체험 학습 (오더리 삼각형, 오더리 사각형, 마름모 삼십면체-정십이면체 위에 정이십면체, 파라코드 매듭 팔찌, 아이큐 퍼즐, 케플러-푸엥소 오목다면체, 세팍타크로 공, 토러스 링 등)
▷보드 게임 속에 적용된 수학 원리 파악 (아발론, 스플렌더, 퍼펙션 게임, 트라이앵글 메이커, 스키왐푸스, 상호지지 구조물 만들기 등)
▷창의력 문제 같이 풀기, 멘사코리아 문제 풀기, 스도쿠, 가로쿠, 노노그램 등
범죄를 수사하는데 사용되는 수학 (2-1 강*수) |
|||||
---|---|---|---|---|---|
이름 | 강지수 | 등록일 | 20.11.17 | 조회수 | 867 |
사건현장에 남아 있는 혈흔을 분석하면 피해자와 용의자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짐작 할 수 있습니다. 혈흔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날아가서 생긴 혈흔이고 다른 하나는 날아가지 않은 혈흔입니다. 저화질 영상의 화질을 높이는 편미분방정식 스테가노그래피를 푸는 통계 이외에도, 지문과 유전자를 감식하고 기체에 꼬인 곤충으로부터 사후 시간을 추정하는 일에도 중고등학교에서 배운 수학이 쓰입니다. [출처] [알쓸신수-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수학사전] 18. 범죄 수사에 쓰이는 수학|작성자 유홍석선생님
조사하면서 느낀 점: 범죄를 수사할 때는 과학수사라는 분야가 있으니 과학이 더 많이 쓰이겠지만 사실은 수학도 숨겨져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혈흔의 모양을 파악해 어디서 날아온 혈흔인지를 알 수 있다고 하니 피해자가 어디서 피해를 입었는지 위치를 찾는데 조금은 보탬이 될 것 같다. CCTV의 저화질 영상은 저화질 영상 그대로 조사하는 줄 알았는데 아직 배우지는 않았지만 편미분을 통해 화질을 높이고 증거물과 원본을 비교하는데 쓰인다는 것은 처음 알게 된 사실이어서 신기했다. 이외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잘 발생하지 않는 총기사고도 총알이 박힌 모양이나 주변에 떨어져 있는 탄창 등의 위치를 통하여 범죄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에도 수학이 쓰인다고 한다. |
이전글 | 미국 드라마 NUMB3Rs에서 등장하는 수학 (2-1 강*수) |
---|---|
다음글 | 수학계의 노벨상, '필즈상과 아벨상' (2-2 장*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