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미장초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여름방학 중 가정과 함께하는 안전·생활교육 안내
작성자 *** 등록일 25.07.18 조회수 60
첨부파일

안녕하십니까? 학부모님들의 귀여운 자녀들이 긴 여름방학을 맞아 학습의 장을 학교에서 가정으로 옮기게 되었습니다. 이에 가정과 함께하는 안전·생활교육을 안내해 드리오니 아래 내용을 살펴보시고, 우리 아이들 모두가 부모님의 따뜻한 사랑 속에서 보다 건강하고 안전하게 여름 방학을 보낼 수 있도록 협조 부탁드립니다.

주 제

내 용

여름철 각종 안전사고

예방 교육

* 수상 안전 지도

익사사고 예방 지도, 사전 준비 운동 철저, 안전수칙 지키기 (구명조끼 착용, 물놀이는 학부모 등 성인과 동행하거나 구조요원 있는 곳 활용, 안전하지 않은 장소에서의 물놀이 금지, 너무 깊은 곳에서 수영을 하지 않기, 몸이 떨리거나 입술이 푸르고 얼굴이 땅기는 증상이 있을 때, 다리에 쥐가 나거나 피부에 소름이 돋을 때는 즉시 물놀이를 중지하기, 물놀이 중에는 껌이나 사탕 등 음식물을 먹지 않기 등)

* 교통안전 지도 : 스쿨존 내 불법 주차된 차량이 있을 경우에 반드시 주변 살피면서 통 행하기, 교통규칙 준수, 도로변 놀이 금지, 여행 시 안전벨트 착용 지도, 자전거 및 인 라인 스케이트 이용 시 안전모 착용 및 안전한 통행지도, 개인형 이동장치 사용 금지, 횡단보도 신호 지키기(무단횡단 금지)

* 바퀴 달린 신발 신고 집 나서지 않기

* 공사장 근처에서 놀지 않기, 길가에서 공놀이, 횡단보도에서 밀치기 장난 하지 않기

학교폭력 예방 및

비행 예방 교육

* 가정에서의 학부모 관찰과 상담 강화

* 학교폭력·성폭력 예방 철저

- 한적한 곳 혼자 다니지 않기

- 필요한 돈만 가지고 다니기

- 유흥장, 오락실, PC방 출입하지 않기

* 위급사항의 대처요령 지도

- 큰소리를 질러 주변 사람에게 알린다. 주변 어른들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 비상시아동 안전 지킴이 집이용할 수 있도록 지도

* 피해를 입었을 경우 학교에 알리기

* 사이버 폭력, 음란성 유해매체에 대한 학생들의 경각심 제고, 음란성 유해매체 차단

* 자녀가 학교폭력 피해 징후를 보이는 지 관찰하고 발견 시 담임교사에게 신고

스마트폰 이용 및

인터넷 온라인 게임 중독

예방 교육

(정보통신

윤리교육)

* 스마트폰 이용 지도

- 사이버폭력의 가해자 또는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스마트폰 이용 예절 지도, 부모님과 약속하여 이용시간 정하기, 유해물 차단 어플 등을 설치, 사이버폭력의 주요인이 되고 있는 단체 카톡방 만들지 않기, 길 걷는 중에 스마트폰 보지 않기 지도

- 건전한 SNS 사용 지도. SNS상에 다른 사람에 대한 욕설, 험담 등 올리지 않기 지도.

* 학생 스마트폰 사용 시 비밀번호 설정 권장(분실 시 타인에 의한 사진, 영상 유포 위험)

* 온라인게임 중독의 폐해

- 학업부적응, 임의 폭력성에 따비행 증가, 아이템사기, 사이버 범죄, 가족 간의 대화단절, 신체 허약, 금단현상 등

* 인터넷 중독 및 사이버 폭력 예방 교육

* 청소년 유해 사이트의 접속 예방 지도 및 사이버 예절 지키기 지도

* 학생 신분에 벗어난 행위 사전 예방지도

* 건전한 여가 보내기 지도(과도한 게임 자제하기)

* 방학기간 가출 예방을 위한 사전 지도 철저

생명존중교육

* 인간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가치관 교육

* 청소년 유해사이트(생명경시내용, 폭탄, 가출 등)의 접속 예방지도

* 이상 징후(친구에게 주는 메시지, SNS ) 학부모 인지 즉시 담임교사에게 연락

여름 휴가철 실종·유괴

예방교육

* 비상시를 대비하여 항상 부모님 이름, 전화번호 등을 숙지시키기

* 자녀의 이름, 전화번호 등은 눈에 쉽게 띄지 않도록 옷 안쪽, 신발 안쪽에 적어두기

* 사람들이 많은 곳에 갈 때는 가능하면 밝은 색 계열의 옷을 입히고, 보호자가 쉽게 알 아볼 수 있도록 장신구(머리띠, 모자 등)를 착용시키기

*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곳(미아보호소, 안내 데스크 등)의 위치를 미리 확인시키기

* 자녀가 공중 화장실, 공동 샤워장 등에 갈 때 항상 동행하기

* 어떠한 경우에도 자녀를 자동차 안에 혼자 두지 않기

* 부모를 잃어버렸을 경우, 당황하지 말고, 제자리에 서서 부모님을 기다리도록 교육시키기

* 자녀들이 스스로 자신을 보호할 수 있도록 실종예방수칙을 반복해서 지도

생활 안전

* 식중독 예방 및 불량식품 사먹지 않기 (위생적인 곳에서 사먹기)

* 외출 시 부모님 동반 및 허락 받기(외출 장소, 외출 이유, 귀가 예정 시간 등 알리기)

* 화재예방 * 불장난 금지, 조리기구 사용 금지

* 전기사용 시 감전, 누전 조심하기, 가스 사고 유의

재난 안전

* 폭염경고시 발생시 행동요령

. 오후 12~4시 사이에는 야외활동 금지

. 갑자기 찬물로 샤워를 하지 않기

. 선풍기를 창문 쪽으로 돌려 환기를 유도하기

. 늦은 시각 과다한 운동은 숙면을 방해하므로 자제하고 드라마 시청, 컴퓨터 게임 등을 삼가기

. 노출 부위는 선크림 등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 피부를 보호하기

. 어린아이를 데리고 야외에 나갈 때는 두꺼운 담요나 옷으로 감싸지 않기

. 거동이 불편한 고령, 신체 허약자, 환자 등은 외출을 금지하기

. 일사병 초기 증세가 보일 경우에는 시원한 장소로 이동하여 몇 분간 휴식을 취한 후 시원한 음료를 천천히 마시기

. 물을 많이 마시되 너무 달거나 카페인이 들어간 음료, 주류 등은 마시지 않기

. 창문이 닫힌 자동차 안에 노약자나 어린이는 홀로 있지 않기

* 태풍주의보 발령 시 행동요령

. 저지대, 상습 침수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은 대피 준비 하기

. 공장 근처는 위험하니 가까이 가지 않기

.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시키기

.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않기

. 대피할 때는 수도, 가수, 전기 차단하기

* 강풍주의보 및 경보 시 행동요령

. 현관이나 복도 또는 창문의 유리파편이 튀지 않을 곳으로 피하기

. 나무나 담벼락 아래로 피하지 않기

. 외출을 삼가고 자동차를 타고 갈 때는 속도를 줄여 운행하기

. 위험 시설물(고압송전시설 등) 주변으로 걸어가거나 접근하지 않기

* 호우 예상 시 행동요령

. 상류 급경사 계곡으로서 집중호우 시 물이 한 곳으로 모이는 지역에서는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기

. 외출을 자제하고, 공사장 주변을 가지 않기

. 집 안팎의 전기 수리는 하지 않기

. 천둥, 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지역으로 대피하기

. 물에 떠내려갈 수 있는 물건은 안전한 장소로 옮기기

. 건물의 출입문이나 창문은 닫기

. 대피할 때 수도와 가스밸브를 잠그고 전기 차단기를 내려두기

.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말고 지하층에 있는 주민은 신속히 대피하기

* 낙뢰가 칠 때 행동요령

. 텔레비전, 라디오 등을 통하여 낙뢰 정보를 파악하고 될 수 있으면 외출을 자제하기

. 텔레비전 안테나나 전선을 따라 전류가 흐를 수 있으므로 전자제품의 취급에 주의하기

. 가옥 내에서는 전화기나 전기제품 등의 플러그를 빼어두고 전등이나 전기제품으로부터 1m이상의 거리 유지하기

. 창문을 닫고 감전 우려가 있으므로 샤워나 설거지 등을 하지 않기

기타

* 잠은 남의 집에서 자지 않고, 부모님이 계신 자신의 집에서 잘 수 있도록 해주세요.

- 남의 집에서 자는 경우, 밤늦게 돌아다니거나 일탈 행동을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 친구들과 무리지어 몰려다니지 않도록 해주세요.

- 학교폭력, 성추행, 일탈 행동 등이 무리지어 다니면서 생겨나고 있습니다. 특히 부모가 부재중인 집이나 노래방, 찜질방 등을 가는 일이 없도록 지도해 주세요.

* 주말에는 자녀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 주세요.

- 바쁘시겠지만 주말에는 자녀의 손을 잡고 산으로, 공원으로, 체육관으로, 서점으로, 영화관으로 가보시는 건 어떨까요? 아이들에게 부모님과 함께 하는 소중한 추억을 만들어 주세요.

* 늦은 시간까지 근린공원 등 집 밖에서 놀지 않도록 해주세요.

* 자녀들과 대화의 시간을 많이 가져 주시고, 자녀의 교우 관계에도 관심 가져 주세요.

- 자녀에 대한 관심, 밥상머리교육 및 잠자리에서의 교육은 인성교육의 시작입니다.

2025718

군 산 미 장 초 등 학 교 장


이전글 「안녕? 전.학.생(전북학교생활탐방)」 방송 일정
다음글 실제 금속 바늘 포함 장난감 관련 안전사고 예방 및 학교 반입 금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