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013.7월 영양,위생 소식지(학생용)
작성자 *** 등록일 13.07.03 조회수 359

**여름 배탈 막는 5가지 방법 **

 (학생용)


	사진설명=김밥을 먹는 한 여성이 복통을 호소하고 있다.
여름에는 배탈이 잘 난다. 배탈은 음식 섭취 후 복통·구토·설사 같은 위장관에 말썽이 생기는 것을 통칭하는데, 여름철에는 찬 음식을 먹은 뒤 쉬이 배탈이 난다.

소화 효소 작용 줄이고 소화관운동 약화 초래

여름철에 찬음식을 먹을 때 배탈이 잘 나는 의학적 이유는 정확하진 않지만, 여러 가지 이유가 될 만한 원인들이 나와 있다.

첫번째는 찬 음식을 먹을 경우에 소화 효소의 작용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소화 효소의 작용은 35~40℃에서 가장 원활하게 이뤄진다. 따라서 찬 음식을 먹으면 소화기관의 온도가 떨어져 음식물의 소화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덜 소화된 음식이 소장에서 장시간 머무를 경우, 삼투압 현상으로 인해 설사가 발생할 수 있고, 미생물 과증식으로 복부팽만 및 방귀 등이 생길 수 있다.

두번째로, 소화관 운동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찬 액체를 섭취할 경우, 광범위 식도연축 환자에서 증상 유발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과민성장증후군 환자에서도 찬 음식의 섭취로 인해 장운동의 변화가 생겨 배탈이 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흔한 원인으로 대장균등에 의한 음식물의 오염이다. 찬 음식의 경우, 가열에 의한 멸균이 되지 않았거나, 더운 곳에서 오랫동안 보관을 하게 되어 미생물의 증식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음식은 장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배탈 유발하는 병, 식중독과 냉방병

찬 음식 섭취 후 장염이 발생하면 복통, 구토, 설사 등이 일어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혈변도 발생할 수 있다. 장염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복통, 복부 팽만감, 과도한 방귀 등이 흔하게 일어난다.

장염의 심한 형태인 식중독도 여름철에 자주 발생한다. 대부분 비위생적으로 조리된 식품이나 불량한 개인위생으로 인해 발생하며 복통, 구토, 설사, 발열, 혈변 등이 흔하게 나타나고, 심할 경우 저혈압이나 패혈증도 나타날 수 있다.

찬 음식이나 장염으로 인한 소화장애 외에도 냉방병으로 인해 소화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냉방병은 실내외의 급작스러운 온도차에 따른 스트레스가 원인이 돼 생긴다. 주로 두통이나 코막힘 등의 감기 증상이 나타나나 소화불량 및 복부의 불쾌감, 설사 등의 위장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아마도 급격한 온도 변화가 장기의 운동을 조절하는 자율신경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배탈 예방하는 여름나기 노하우
1)손을 자주 씻는다. 특히 음식물을 조리하기 전후, 화장실을 이용한 후, 기저귀를 간 후 혹은 설사를 하는 사람을 돌 본 직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설사로 오염된 벽이나 옷은 세제와 표백제로 반드시 씻도록 한다.

2)모든 육류는 먹기 전에 충분히 조리하도록 하며, 남은 음식은 2시간 이내에 냉장 보관한다. 날육류가 놓였던 씻지 않은 접시에 조리된 음식을 올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날육류를 자르는데 사용한 칼을 야채를 써는데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고기를 준비하는데 사용한 도구와 주방 표면은 깨끗이 씻어야 한다.

3)멸균되지 않은 유제품이나 음료는 절대로 섭취해서는 안 된다. 모든 음식은 충분히 익혀서 먹도록 하며 남은 음식과 음식물 쓰레기는 최대한 빠르게 버리도록한다. 개봉된 음식물의 섭취는 피하고 될 수 있으면 가정에서 조리된 음식을 먹도록 한다.

4)구토, 설사 등이 발생할 경우, 충분한 액체를 섭취하고 호전되면 점차적으로 고형식으로 식사를 바꿔가도록 하고,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5)매우 덥고 습한 날씨에 장기간 햇빛에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하며 충분한 액체를 섭취하도록 한다.

/ 김경원 헬스조선 기자 kkw@chosun.com
사진=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spphoto@chosun.com
도움말=김상우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이전글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포스터
다음글 2013.7월 영양,위생 소식지(학부모,교직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