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전주교육지원청 로고이미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 담당부서 : 완산발명교육센터 251-7131  

                   덕진발명교육센터 240-1970

2021 완산미래창작공방(코바늘8차시)
작성자 형보은 등록일 21.12.17 조회수 496
첨부파일

 


 

본 영상은 코바늘 기초 수업으로, 코바늘을 처음 접하시는 완전 초보분들을 위한 영상입니다. 

학생과 교사 모두 활용할 수 있으며, 온라인 수업 자료로 사용하셔도 됩니다.

1차시부터 순서대로 학습하시는게 좋아요.

 

코바늘에 대한 문의사항: 070-4268-1685 (2023년2월28일까지 응답가능합니다.)

 

 

*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제공

[00:01]

저는 9단을 다 떴는데요. 한번 확인해 볼게요. 여기 보시면 이게 한 길 긴뜨기잖아요.

한 길 긴뜨기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여기가 여덟의 마지막이고요.

이제 여기 한 번 연결만 해주면 아홉입니다. 자 마지막 단은요.

마지막 단은 우리가 해왔던 것처럼 한 개 긴 뜨기로 연결하지 않아요.

마지막 단은 이제 끝이기 때문에 그냥 똑같이 샅을 5개로 연결합니다.

하나 둘 셋 넷 다섯 다섯 하고 여기에다가 빼뜨기로 연결해 줄 거예요.

넣어서 머리는 똑같죠. 한길 긴 뜨기 샷을 머리에 넣어주시고 그대로 나와서 여기까지 동그 빼뜨기 됐죠.

그리고 나서 이 구멍 사이로 다시 자리를 옮겨줄 거니까 빼뜨기 한 번 더 이 구멍에다 빼뜨기 그대로 넣어서 자 이제는 마무리를 해줄 거예요.

이제는 겉면과 앞면이 어딘지 다 구분이 되시죠 이거는 뺄게요.

마무리를 하기 위해서는 이 윗부분이 이렇게 힘 없이 있으면 안 되기 때문에 짧은 크기로 세 단 정도를 세워줄 겁니다.


[01:33]

짧은 뜨기를 해줄 거예요. 짧은 뜨기는 어떻게 하냐면 기둥 하나 세우고 짧은 뜨기를 이 한 고리에 똑같은 자리에 4개씩 넣어줄 거예요.

4개씩이요. 자 넣어서 그대로 이 고리 자리에 넣어서 실 가져오고 키 키워준 다음에 잡고 그대로 잡아 빼면 한 길 아니 짧은 뛰기 하나죠.

자 이 똑같은 자리에 4개입니다. 하나 둘 또 넣어서 그대로 데리고 나와서 두 줄 되면 잡아서 뽑고 새 자 보시면 이 한 자리에 하나 머리 둘 머리 셋 머리 넷 머리 얘는 아까 빼뜨기 한 거 얘는 없어요.

기둥이 없는 아이는 짧은 뜨기가 아니에요. 얘는 기둥이 없잖아요.

이거는 없어 다리가 없어 얘는 아니에요. 하나 둘 셋 4개입니다.

4개 이렇게 4개씩 계속 똑같이 반복해서 한 바퀴를 돌릴 건데요.

자 다음에 여기는 신경 쓰지 마세요. 연결 부위 빼고 이 고랑이입니다.

이 고랑에 4개를 넣어 줄 거예요. 그대로 바늘 넣어서 실 가지고 나오고 키 키워준 다음에 잡고 두 줄 한꺼번에 통과 하나 둘 셋


[03:12]

자 다시 확인해 볼게요. 4개인가 얘는 빼고 하나 기둥 하나 머리 하나 둘 기둥 하나 셋 기둥 하나 넷 한 자리에 4개 들어갔죠 자 이렇게 한 자리에 4개씩 해서 한 바퀴를 돌리겠습니다.


[03:49]

자 하고 왔더니 처음 짧은 뜨기를 했던 자리로 돌아왔어요.

이렇게 한 바퀴를 다 감아서 마지막 여기 4개까지 다 끝냈고요.

그러면 이제 연결을 해줘야겠죠 연결은 뭐 빼뜨기 어디다가 배뜨기 해줘야 되냐 여기 자세히 보시면 이렇게 위로 봐서는 구분이 안 돼요.

밑에서 봤을 때 얘 얘 기둥 처음으로 생긴 애의 머리 있죠?

여기 여기 얘입니다. 4개가 맞는지 일단 확인 여기 걸리네 이쪽에 걸리네 이 고랑에 걸리네 하나 둘 셋 넷 네 번째 여기 첫 번째죠.

여기 여기에다가 코 여기 v자 두 개 다 걸리게 넣어요.

넣어서 빼뜨기 빼뜨기는 시를 그대로 데리고 나오는데 어디까지 데리고 나와 걸린 애 바늘에 걸린 애까지 데리고 나와야 빼뜨기 연결 자 1단이 마무리가 됐습니다.

2단 똑같아요. 이번엔 한 코에 하나씩 한 코가 뭐였죠?

한 코는 이렇게 딴 머리 하나 의자 모양 하나가 한 코였죠 이 코 머리에 하나씩 짧은 뜨기를 넣어줄 거예요.


[05:02]

짧은 투기 기둥 1개 사슬 하나 세워주고 우리가 지금 한 코에 하나씩이라고 했는데 초코에 지금 기둥만 서 있잖아요.

여기에 짧은 트이 안 들어가 있죠 그래서 방금 척코를 했던 이 자리 여기 여기 똑같은 자리예요.

빼뜨기 했던 그 똑같은 자리 기둥 세운 바로 밑에 여기에서부터 시작할 거예요.

짧은 뜨기 넣어서 실 가져오고 키 키워주고 두 줄 댔을 때 실 걸어서 한꺼번에 통과 하나 넣어서 데리고 나오고 넣어서 데리고 나오고 셋 넣어서 데리고 나오고 네 네 개 맞는지 확인하세요.

이쪽 첫 고랑에 걸린 아이들 4개 하나 둘 셋 넷 4개 했죠.

그다음부터는 똑같이 코머리에 하나씩 코머리에 하나씩 해서 한 바퀴를 돌아올 겁니다.

자 이렇게 생각 없이 막다 보면 한 바퀴가 다 지났는지도 모르고 막 2위로 계속 뜨고 있어요.

그거 그러면 안 되고 잘 확인해서 딱 여기도 마지막 코 하나 둘 셋 4개 확인하고 네 번째 여기까지 여기까지만 떠주세요.

여기까지만 자 마지막까지 왔어요.


[06:24]

마지막 4개 하나 둘 셋 넷 연결해야 되죠. 연결할 때 자세히 보시면 얘는 지금 기둥이 없어요.

머리만 있죠 머리만 있는 애는 빼뜨기 안에 이 아니고 배뜨기 바로 위에 얘는 기둥이었어 아니고 그러면 이 v자 v자의 기둥 몸통이 있는 위에 몸통 위에 머리 여기가 척코입니다.

여기 척코 자 몸통이 있는지를 꼭 확인하세요. v자 몸통이 있어야 돼요.

얘는 없어 아니고 v자 몸통 위에 얘 머리 위에 바늘 넣어서 빼뜨기 그대로 끌고 나와서 바늘에 걸린 실까지 통과 다 배트기 했죠.

그리고 마지막 한 단 더 올려줄 거예요. 자 짧은 뜨기 기둥 하나 그리고 초코 방금 여기 이 브이자 머리 여기가 처코였어요.

방금 빼뜨기 했던 여기 바로 옆에 아니고요. 안 보이는 것 같은 여기 똑같은 자리에 한 번 더 넣어서 짧은 뜨기 하나 자 그리고 다시 옆 코에 왼쪽으로 진행 방향 유지하면서 한 바퀴 또 돌아올 건데요.

어디까지 생각 없이 막히면 안 되고요.


[07:37]

지금 얘는 1단 2단 3단이잖아요. 여기 보시면 얘는 1단 2단이에요.

2단의 끝 여기까지 여기 여기 여기 여기까지 얘는 아니다.

여기까지 한 바퀴 돌아오세요. 자 한 바퀴 마지막입니다.

마지막 코 여기 v자 몸통 위에 머리 여기까지 넣어서 짧은 뜨기 그리고 나서 이제 또 연결해서 빼뜨기로 연결해 줘야겠죠.

여기 보시면 구분이 잘 안 되시면 그냥 아무 데나 막 끼우셔도 돼요.

초보니깐요. 근데 제대로 하고 싶다 하시면 잘 보세요.

여기 가로 모음자 으처럼 생긴 이 아이들은 아니에요.

빼뜨기 자리예요. 연결해 줬던 연결 부위 그래서 여기에다가는 절대로 코를 넣지 않습니다.

그리고 보시면 왼쪽에 v자 몸통 위에 머리 있죠 머리 여기 여기 v자 몸통 위에 머리 여기가 초코입니다.

거기에다 넣어서 배 뜨게 해줄게요. 얘는 기둥 얘는 연결 연결 기둥 척코 초코니까 초코에다가만 빼뜨게 합니다.

그대로 넣어서 이렇게 자 그러면 완성이거든요.


[08:52]

여기에다가 이름표를 달고 싶은데 만약에 이름표가 너무 크다 그러면 한 2단 정도 더 올려주셔도 되고 자유롭게 어 물통을 넣어 봤더니 물통이 너무 남는다.

그럼 또 한 세단 더 올려주셔도 되고 자유롭게 크기 조절은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여기에서 바로 손잡이 만드는 방법 알려드릴게요.

손잡이라고 해도 좋고 어깨에 거실 분들은 길게 만들어서 어깨 끈으로 활용하셔도 되겠습니다.

자 그렇다면 손잡이 하는 방법 갑니다. 손잡이는 한 길 긴 뜨기를 활용할 거예요.

그래서 튼튼하고 잘 끊어지지 않는 걸로 할 건데요.

여기서 한 길 긴뜨기니까 바로 바로 세코 하나 둘 새해에 처음은 3개 기둥으로 삼아 줍니다.

3개 했으면 한글 긴 뜨기를 바로 해줄 건데 어디냐 방금 한 거 바로 옆 고 엽코입니다.

그 자리 아니고 바로 옆코 엽코에다가 한 개 긴 뜨기 여기서부터는 키 맞추기가 정말 중요해요.

이 두 개가 쌍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왼쪽이랑 오른쪽에 얘네 둘이 키가 잘 맞아야 됩니다.


[10:05]

자 이렇게 해서 2개가 됐죠. 그러면 또다시 기둥 세우고 한 개 긴뜨기 기둥 세우고 한 개 긴뜨기를 반복할 거예요.

기둥 3개 한 길 견뜨기를 해줘야 되는데 어디에다 할 거냐 이 방금 만든 이 기둥 이 기둥 사이 여기에다가 한 길 긴뜨기를 해줄 거예요.

실 한 번 감아서 한글 긴 뜨기 하기 위해서 안에다가 이 방금 한 안에다가 넣어 반을 넣어서 시를 그대로 데리고 나오는데 데리고 나온 상황에서 키를 쭉 키워줘야 돼요.

키를 많이 키워줘야 돼요. 얘는 오른쪽에 이미 높이 있으니까 잡고 두 줄만 통과 그리고 마지막에 다시 이렇게 쭉 반듯이 펴 가지고 다시 두 줄 통과했을 때 양쪽 길이가 똑같아질 수 있게 안 그러면 나중에 이쪽이 보통 짧거든요.

그럼 얘가 이렇게 누워요. 옆으로 옆으로 누우면 안 이쁘겠죠 다시 기둥 3개 기둥 하나 둘 셋 그리고 이 사이 바로 아래에 있는 이 두 개 사이에다가 한 길 긴뜨기 넣어줍니다.


[11:13]

실 감아서 바늘 넣고 실 그대로 빠져나오는데 키를 쭉 늘려주고 실 감아서 두 줄만 통과 마지막으로 한 번 더 키 맞춰주고 실 감아서 통과 이렇게 키를 계속 쭉쭉 맞춰줘야 얘네들이 모양이 이렇게 예쁘게 나와요.

아시겠죠? 자 이렇게 해서 자기가 원하는 길이까지만 어깨에 걸쳐 보시고 손목에 걸어 보시고 해서 본인이 원하는 길이까지만 떠주시면 됩니다.


[11:54]

어깨에 걸쳐 보실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얘가 실이라서 늘어나요 이렇게 늘어나요 그러니까 본인이 원하는 길이보다도 한 5센치 정도는 더 짧게 하셔야 될 거예요.

어 옆으로 맸을 때는 본인 옆구리에 갈비뼈하고 골반뼈 사이 그 정도까지 오게 해주셔야 물통을 넣었을 때 나중에 허벅지까지 내려가지 않습니다.

그러니까 길이는 잘 확인하셔서 하시고 만약에 너무 길게 했다 하면 윗부분 묶어서 사용해 주시면 되니까요.

저는 그냥 손잡이 정도 길이로만 해보겠습니다. 물병이 없어서 저는 주스를 한번 넣어볼게요.

주스를 이렇게 넣고 아주 딱이군요. 여기에 손잡이까지 이렇게 달리면 딱 좋을 것 같아요.

이 정도 누워서 보시면 이 정도 밑으로 축 처지기 때문에 이렇게 반절 정도만 담겨도 괜찮아요.

자 그러면 저는 여기에서 마무리를 할게요. 자기가 원하는 길이까지 다 뜨신 분들은 마무리 따라 하시면 되겠습니다.


[13:12]

마무리는 마지막에 그냥 사슬 하나 쭉 꺼낼 건데요.

길게 빼서 실은 잘라주시고 쭉 뽑아주세요. 그럼 여기서 매듭이 자동으로 지어지죠.

그리고 여긴 좀 길게 빼셔야 돼요. 그리고 돗바늘로 이제 꼬매줄 겁니다.


[13:30]

돗바늘 넣는 방법 다 설명드렸죠 자 반을 접어서 실 끼우고 자 여기에서 얘를 딱 반으로 접어 가지고 그래도 균형은 잘 맞아야 하니까요.

꼬이지 않게 실 이렇게 해서 이 부분 여기에다 바로 꾸며줄 거예요.

자 그러면 여기 이렇게 두 코 잡아주시면 되는데요.

첫 번째 코 오른쪽 코에다가 넣어서 이렇게 꺼내주시고 그리고 그냥 이렇게 이렇게 빙글빙글빙글 꼬맨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여기도 초코에 넣어서 다시 뽑아주시고 두 번째 코 우리 처음 시작할 때도 두 코에 걸쳐서 했으니까 두 번째 코에다가도 넣어주시고 얘도 두 번째 걸어주시고 아무 데나 꽂아주시면 돼요.

그냥 자 근데 이렇게 했더니 연결된 게 마음에 드나 한 컷 더 옆으로 갔으면 좋겠다 하면 저는 세 컷까지 가겠습니다.

이렇게 해야 예쁠 것 같다 됐네요. 이 정도 되면 좋을 것 같아요.

이게 끊어질 것 같아서 불안하다 그러면 한 바퀴 더 감아주세요.

얼마든지 눈에 보이게 거슬리지 않을 정도로만 꼼꼼히 감아주시면 됩니다.


[14:57]

저는 왼쪽으로 왔으니까 오른쪽으로 한 번 더 가서 오른쪽에서 마무리할게요.

자 마무리는 언제나 안쪽에서 합니다. 여기까지 왔죠 그럼 안쪽 이쪽이 안쪽입니다.

안쪽으로 뒤집어서 방법은 똑같아요. 근처에 아무실이나 한 가득 떠서 반을 찔러 넣은 다음에 고리가 생기면 고리에 뒤쪽에서 앞으로 바늘 넣어서 실 당겨서 마무리 그리고 마무리 끝나면 어떻게 해요?

실을 숨겨줘야죠. 실은 그냥 이렇게 떠가지고 세 네 코 정도 가면 됩니다.

나는 한 방향으로만 가는 거 불안하다. 풀리지 않게 반대 방향으로 세네 거 똑같이 또 와주세요.

겉면에서 보이게 뜨시면 안 됩니다. 앞면에서만 보이게 안쪽에서만 쭉 잡아당겨서 가위로 잘라주시면 완성 자 보기에는 되게 조그마하고 웃기죠.

근데 여기다가 딱 맞게 들어갑니다. 딱 맞게 이렇게 한번에 물병 뜨기도 물병 가방 뜨기도 완성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글 2021 완산미래창작공방(코바늘7차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