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정수장 필터 '분리막' 세척기술
작성자 김연주 등록일 20.11.11 조회수 117

가슴 깊은 신념에서 말하는 '아니오'는 그저 다른 이를 기쁘게 하거나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말하는 ''보다 더 낫고 위대하다. 마하트마 간디-궁전 짓는 왕에게 아첨 대신 충언!!

사랑은 홀로 설 수 없다. 스스로 사랑을 채우고 이를 베푸는 것, 그때 사람이 사람답고 세상은 아름답다.- 발타자르 그라시안 - 장미를 모두 나눠 준 노부인의 행복!

매일 좋은 글귀와 관련된 사례를 접하는 일도 행복 중의 하나입니다. 과학기술이 아무리 발달해도 인간의 감성을 능가할 수는 없을 것 같죠?

 

 

10분 빛 쪼이면 ''국내 연구진

,

정수장 필터 '분리막' 세척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화학약품 사용 없이 빛을 쪼이는 방법으로 정수장의 고성능 필터인 분리막을 세척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10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자원순환연구센터 변지혜·홍석원 박사 연구팀은 수처리용 분리막의 고질적인 문제인 미생물에 의한 표면 오염 문제를 빛을 쪼이는 방법으로 해결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응용 촉매 B: 환경(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최신호에 게재됐다.

수처리 분리막 기술은 바닷물을 담수로 만들거나 하수 처리 등에 활용된다. 수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어 최근 문제가 됐던 수돗물 유충 사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힌다.

문제는 수처리 분리막은 일정 기간 사용하면 표면에 미생물이 쌓여 정수 성능이 크게 떨어진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현재는 분리막을 일주일에 한 번 정도 6시간 이상 염소 등 화학약품을 이용해 세척한다. 유지 비용이 많이 들고 분리막이 약품 때문에 손상되기도 한다.

연구진은 가시광선에 반응하는 광촉매를 수처리 분리막 표면에 단단하게 고정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광촉매는 빛을 흡수하면 주변의 산소 분자를 활성화해 활성산소종을 만드는데, 염소나 오존보다 산화력이 높아 살균과 오염물 분해 효과가 탁월하다.

연구진의 기술로 만든 분리막은 10분 정도 빛을 쪼이면 오염 물질이 분해돼 재사용이 가능했다. 분리막 표면의 고농도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는 최대 1시간 만에 99.9% 제거됐다. 분리막 관리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데다 분리막을 떼어내지 않고 물 속에 넣어 놓은 상태에서도 세척이 가능했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변지혜 박사는 햇빛뿐만 아니라 실내 조명기구를 통해서도 광촉매를 활성화해 분리막 세척 효과를 낼 수 있다수처리 분리막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차세대 신소재 개발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기침 소리로 코로나19 판별’ AI 등장

미국 MIT 연구진, 학술지 발표
확진자의 98.5% 식별해내고
무증상 환자 100% 감지 큰 의미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유럽 국가들이 속속 봉쇄령을 내리는 가운데 그리스의 한 시민이 진단검사를 받고 있다. AP연합뉴스

기침 소리로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판별하는 인공지능(AI)이 미국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지난주 과학전문매체 라이브 사이언스에 따르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건강한 사람과 코로나19에 걸린 사람의 기침 소리를 구분해내는 AI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IEEE 의학 및 생물학 엔지니어링 개방형 저널최근호에 게재됐다.

이번 기술은 기침 소리가 사람의 성대와 주변의 장기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착안해 고안됐다. 연구팀의 AI는 기침 소리로 성별과 모국어, 심지어 감정 상태까지 알아낼 수 있다. 그동안 폐렴이나 천식,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이 기술을 진척시켜왔는데, 이번에는 코로나19를 판별할 수 있는 기능까지 탑재한 것이다.

이번 AI를 만들기 위해 연구진은 의사가 환자의 가슴에 청진기를 댈 때 요구하는 강제 기침소리를 수집할 별도 웹사이트를 개설했다. 이를 통해 모두 7만명의 기침 소리를 모았으며, 이 가운데 2660명은 코로나19에 감염됐던 환자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진이 만든 AI의 성능은 놀라웠다. 코로나19에 걸린 사람의 98.5%를 식별했다. 특히 코로나19에 감염됐지만 겉으로는 특별한 증상이 없는 사람을 100% 감지해냈다. 무증상 환자는 감염을 의심할 만한 증세는 딱히 없지만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확산할 수 있기 때문에 방역 과정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번 연구를 이끈 MIT 오토 아이디 연구소의 브라이언 수비라나 박사는 라이브 사이언스를 통해 이번 기술이 증상이 없는 사람들을 발견하는 것을 도와 대유행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AI를 검진 도구로 쓸 수 있도록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 절차를 밟고 있다. 연구팀은 모든 연령대와 인종의 기침 소리에 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AI를 고도화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전글 부부는 살면서 닮아간다? 천연방향제 탐구 방법!!
다음글 식물성 식단·곡물생산 효율화 등 개혁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