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터의 보상심리,도덕적 문제에서도? |
|||||
---|---|---|---|---|---|
이름 | 이순영 | 등록일 | 18.09.21 | 조회수 | 80 |
흔히 다이어터 사이에는 '보상 데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동안 살을 빼느랴고 열심히 운동하고 적게 먹었으니, 일주일에 한 번 정도는 그동안의 노력을 보상받아 마음껏 먹어도 괜찮다는 심리 때문이죠. 캐나다의 토론토 대학교 로트만 경영대학교의 니나 마자르와 첸보 총 교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와 관련된 실험을 했는데요. 우선 학생들에게 친환경 제품과 일반 제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어요. 그러면서 한 가지 조건을 내걸었는데요. 정답과는 상관없이 엔터를 누를 때마다 5센트의 돈을 준다고 한 것이죠. 실험은 누구도 지켜보지 않았고 상금도 학생들이 알아서 가져가도록 했어요. 즉 거짓말을 해도 들킬 염려도 없고, 돈도 마음대로 가져갈 수 있는 상황이었던 것이죠! 놀랍게도 친환경 녹색제품을 고른 학생들의 거짓 대답 횟수와 돈을 훔친 건수가 일반 제품을 고른 학생들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답니다. 왜 그런 거냐고요? 이 '도덕적 허가 효과'는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나타났는데요. 런던정경대 마가렛 올미스톤 교수와 캘리포니아 주립대 엘라니 왕 교수가 포춘이 선정한 기업 중 49개를 대상으로 사회적 책임과 사회적 무책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사회적 책임에 투자를 많이 했던 기업들이 나중에는 무책임한 행동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도덕적 허가 효과', 결국 도덕적이라고 자신하는 사람들이 비도덕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입니다. 이와 같이 도덕적 우월감이라는 자기 정당화의 늪에 빠지면, 무엇이 문제인지 정확히 보기 힘들어진답니다. [출처] 다이어터의 보상심리, 도덕적 문제에서도? |
이전글 | 노지희 [박진영의 사회 심리학] 안떠난 것이 아니라 떠난 '그들' |
---|---|
다음글 | "오른쪽으로 눈 굴렸지? 딱 걸렸어, 당신 거짓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