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심리학(창의적이면 버릇없다? 혁신의 기본은 공손함) |
|||||
---|---|---|---|---|---|
이름 | 김수연 | 등록일 | 16.04.17 | 조회수 | 305 |
창의적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대화와 정밀한 일을 실수 없게 하기 위한 대화는 어떻게 다를까? 그 메커니즘을 알아내기 위해 심리학자들은 많은 연구를 해 오고 있다. 굳이 특정 연구를 거론하지 않아도 창의적 아이디어를 위해서는 추상적인 대화가 필요하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왜 그런지 그 인과관계는 명확하다. 추상적이라 함은 포괄적임을 의미하고, 포괄적이라면 다른 대안을 살펴보기에 더 유리한 관점이기 때문이다. 그 반대가 바로 실수 없이 꼼꼼하게 일을 하는 것이다. 일의 세부적인 측면에 집중을 해야 하니 같은 말이라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할 필요가 있음 역시 당연하다. 그러니 추상적인 말과 구체적인 표현은 각각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산하거나 이미 나온 아이디어를 정밀하게 실행할 때 각각 필요하다. 추상적이거나 구체적인 대화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아주 재미있게 살펴본 연구가 있어 한 번 소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변수는 '예의와 공손함'이다. 전혀 상관없을 것 같은 이 변수가 과연 추상적이고 구체적인 대화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이스라엘 텔아비브대학의 엘레나 스테판 교수와 미국 NYU의 야곱 트로페 교수가 바로 이 연구의 주인공이다. 사람들에게 어떤 내용이나 현상을 들려주거나 보여준 뒤 그것을 어떤 사람들에게는 되도록 추상적으로, 또 다른 사람들에게는 최대한 구체적으로 설명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리고 두 그룹의 사람들이 설명한 내용을 제3의 그룹에 평가해 달라고 했다. 그 결과는 매우 흥미로웠다. 되도록 구체적으로 설명을 시도한 사람들에 비해 추상적으로 설명을 하려고 애쓴 사람들의 내용이 훨씬 더 예의 바르고 공손하다고 평가받은 것이다. 그렇다면 그 반대도 가능할까? 다시 말해 이번엔 공손함에 신경을 써서 같은 내용을 설명하라고 요청했다. 놀랍게도 그 결과 역시 일맥상통했다. 예의 바르고 공손한 설명을 요청받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훨씬 더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표현을 잘 하더라는 것이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일까? 사람들은 추상적 표현과 구체적 표현을 할 때 매우 중요한 변인(變因)상 차이가 있다고 무의식적으로 가정하기 때문이라고 연구자들은 설명한다. 바로 시간이다. 추상적 표현은 사람들로 하여금 상대적으로 긴 시간상에 있는 생각과 행동을 의미한다. 반면 구체적 표현은 시간적으로 더 짧다고 느낄 때 하는 것이다. 그래서 스테판 교수는 같은 내용이라도 내일 혹은 1년 후 어떤 사람에게 말한다고 가정하고 설명을 해보라고 요청했다. 그 결과, 1년 후 누군가에게 설명한다고 가정했을 때 사람들은 훨씬 더 예의 바르고 추상적인 표현을 많이 하더라는 것이다. 실로 놀라운 결과가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리는 창의, 즉 발상의 전환은 자유롭게 생각을 확산시키고 진행해야 가능하다는 걸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오해가 하나 있다. 그 자유로움이 무례와 동일시되는 것이다. 그래서 창의적인 사람은 버릇없다는 오해가 만연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분명히 말해 주고 있다. 예의와 배려가 강조돼야 추상적 사고가 가능해지며 그로 인한 창의적 사고가 더 촉진된다고 말이다. 우리는 그동안 예의 바름과 쓸데없는 격식을 혼동해왔다. 이를 구분해 격식은 없어 자유롭지만 공손함과 배려는 유지되는 상황을 만들어낸다면 어떨까? 그럴 때 바로 창의와 혁신을 위한 발상의 전환이 가능해진다. 이는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대화를 통해 발상의 전환을 할 |
이전글 | 음악으로 위기 청소년 마음을 어루만진다. |
---|---|
다음글 | '청소년 고민, 1388로 문의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