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년 성취도평가준비 1회(12.12시험) 정답입니다. |
|||||
---|---|---|---|---|---|
작성자 | *** | 등록일 | 08.12.12 | 조회수 | 506 |
1.② : 독서와 사색을 즐기는 자신의 성격은 미술과 관련된 국제 행사에 자원봉사자로서 갖추어야 할 요건과 거리가 멀다. 2.③ : 예시문에서 ‘옷감을 골랐다’는 것은 글감이 선정되었다는 의미이고, 그 다음 단계인 ‘내용을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대하여 비유한 글이다. 3.③ : ① ‘바야흐로’는 지금 막의 뜻이므로 과거시제와는 호응되지 않기 때문에 ‘불렀다’를 ‘부르려 한다.’로 고쳐야 한다.② 할머니가 더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오셨어요.’를 ‘왔습니다.’로 고쳐야 한다.④ 말씀을 높여서 교장 선생님을 간접적으로 높이는 표현이다. 그러나 ‘있다’는 직접높임에서는 ‘계시다’로 쓰지만 간접높임에서는 ‘있으시겠습니다.’로 고쳐야 한다.⑤ 빵과 우유는 마실 수 없기 때문에 빵을 먹고 우유를 마셨다로 고쳐야 한다. 4.① : 언어의 역사성이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언어가 생성 소멸하기도 하고 의미나 표기가 달라지기도 하는 것을 말하며, 언어의 사회성은 언어는 사회적 약속으로 어느 한 개인에 의해 쉽게 바뀌지 않음을 말한다 5.⑤ : 경구개음 ‘ㅈ, ㅉ, ㅊ’ 중, ‘ 된소리는 ’ㅉ‘이고, 후설 모음 ‘ㅡ, ㅓ, ㅏ, ㅜ, ㅗ’ 중, 저모음은 ‘ㅏ’이며 울림소리‘ㄴ,ㅁ,ㄴ, ㅇ’ 중, 콧소리면서 여린입천장소리는 ‘ㅇ’이다. 6.⑤ : 준수와 세정의 대화에서 중심 내용을 보면 읽은 책의 감동적인 부분을 화제로 대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7.③ : 글의 제목은 글 전체를 포괄할 수 있어야 하며, 전체적인 내용에 대한 암시를 줄 수 있어야 한다. 이 글에 대한 제목은 합창대회 때 있었던 일, 고음의 주인공, 가려진 나의 실수 등이 적합하다. 8.② : 이 글은 조기 영어 교육에 대해 찬성과 반대로 나뉘어 토론을 할 수 있다 9.⑤ : 이 글은 설명문으로 쉬운 언어의 사용과 예시의 설명 방법을 통해 문학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는 글이다. 10.④ : 예시문의 감상문은 비판적 측면의 감상이기 때문에 글(라)의 내용과 관계가 깊다. 11.④ : ‘①은 김춘수의 시 꽃, ②는 정철의 시조, ③은 도데의 소설 별, ⑤는 박완서의 소설 옥상의 민들레꽃’이라는 문학작품이며, ④는 사람은 인생을 통해 소나무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내용의 설명문이다.(권오길의 사람과 소나무) 12.① : (다)의 내용은 문학 작품 감상 방법 중, ‘깊고 넓은 이해’로 주제나 교훈의 파악, 생활에의 적용이 여기에 해당 된다. 13.④ : 작가는 독자가 스스로 사전을 즐겨 찾아 읽는 습관을 가지기를 바라고 있다. 14.④ : 시, 소설, 수필 등 문학적인 글에서는 분석적이고 세부내용을 파악하기보다는 전체적인 느낌을 받아들일 것이 바람직하다. 15.③ : (다)는 청소년 흡연 실태의 심각성을 알리고 금연에 대한 어른들의 솔선수범을 강조하고 있다. 16.② : 사람은 자면서 얕은 잠과 깊은 잠을 반복하는데. 얕은 잠을 잘 때 꿈을 꾼다고 하였으므로 전혀 꿈을 꾸지 않는 사람은 없다 17.① : 뇌파의 두 종류(알파, 델타)에 대한 특징을 말하고 있다. 18.⑤ : 이 글에서의 ‘대사’는 우리 몸의 ‘신진 대사’를 의미하므로 (마)의 내용에 해당한다. 19.④ : ‘이와 개’라는 생활 속의 평범한 소재를 통해 교훈을 주고 있는 글이며, 개인적인 체험을 통해 보편적인 삶의 교훈을 이끌어 내고 있다 20.③ : 이 소설은 위기를 극복하는 지혜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고, 군신 사이의 관계가 무너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은 없다. 21.⑤ : 이 글에서의 ‘대사’는 우리 몸의 ‘신진 대사’를 의미하므로 (마)의 내용에 해당한다. 22.① : (가)시는 윤동주가 1936년도에 썼다는 시로 일제 강점기의 불행한 역사 속에 상처입은 한 가정의 비극을 나타낸 시로 예시문과 시대적 상황을 같이 한다. 23.⑤ : (마)는 후회스런 지난일에 대한 반성과 자아성찰 노래하고 있는 시이다. 24.② : 이 작품은 아버지의 고달픔과 연민을 보여준다. ㉡은 귀여운 자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기 연민과는 거리가 멀다 25.① : (가)는 첫 행과 마지막 행이 짝을 이루고, (나)는 1연과 4연이 짝을 이루어 수미 상관의 구조를 이루면서 의미 강조와 운율의 효과를 갖는다. 26.④ : (나)는 인내와 희생을 통한 참된 사랑의 실천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시이다. 27.④ : ①은 남성적(이육사의 광야) ②는 남성적(유치환의 깃발), ③은 낭만적(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④는 여성적(한용운의 님의침묵), ⑤는 남성적(박두진의 해) 28.② : 문학 작품 속에 드러나는 느낌, 생각 등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 문화, 역사와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특정 문학 작품이 바탕으로 하는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상황을 파악해야만 그 문학 작품을 더 잘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29.③ : (가) : 사랑 손님과 어머니 (나) : 기억 속의 들꽃 (가), (나) 모두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관찰자인 ‘나’가 주인공들의 행동이나 사건 을 객관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30.② : 유치원은 지금도 존재하는 교육기관으로 작품이 쓰여진 당시의 상황을 나타내는 시대적 배경과는 관계가 멀다. |
이전글 | 성적확인 |
---|---|
다음글 | 겨울방학 방과후학교수월성교육 안내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