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서신초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021-60호 여름 방학 중 코로나19 예방 및 자가진단 실시 안내
작성자 *** 등록일 21.09.08 조회수 34

학부모님 안녕하십니까?

어느덧 여름 방학이 다가왔지만, 여전히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긴장을 늦출 수가 없습니다.

방학 중에도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등 코로나19 예방수칙을 잘 지켜서

건강하고 즐거운 방학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1

방학 중 학생건강상태 자가진단 일시 중단

     방학기간 동안 학생건강상태 자가진단은 일시적으로 중단하며, 816()부터 다시 실시합니다.

    개학당일 등교 전, 학생들의 건강상태를 점검한 후에 자가진단을 꼭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돌봄 등으로 등교를 하는 경우는 자가진단 실시하여야 함

    방학 중 자가진단 제출은 하지 않더라도 가정에서 매일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합니다.

2

코로나19 예방수칙

     코로나19 임상 증상이 있는 경우 선별진료소를 방문하여 진료·검사를 받습니다.

- 검사결과 음성이거나 선별진료소 방문 후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검사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

    가정에서 휴식을 취하며 경과 관찰(돌봄 등 등교중지)

- 34일이 경과되어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악화될 경우 콜센터(1339, 063+120) 문의 후 안내에 따라 조치

- 선별진료소 방문 시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고 가급적 도보나 자가용을 이용

- 선별진료소에서 검사 후에는 PC, 노래방, 편의점, 식당 등 다른 장소를 방문하지 말고 집으로 바로 귀가

     개인 예방 수칙

반드시 실천해야 하는 3 수칙

반드시 피해야 하는 3 수칙

실내에서는 올바른 마스크 착용

손 자주 씻기

사람간 거리는 2m (최소1m) 이상 유지하기

증상이 있는 경우 외출(여행)하지 않기

3(밀폐, 밀집, 밀접) 장소 가지 않기

씻지 않은 손으로 눈,,입 만지지 않기

     면역력 강화를 위한 방법

잠을 8시간 이상 충분히 잡니다.

균형잡힌 식사를 합니다.

즉석식품 섭취를 줄입니다.

물을 하루에 7~8잔 정도 마십니다.

스트레스를 잘 조절합니다.

개인위생관리(손씻기)를 철저히 합니다.

이럴 땐, 담임선생님께 꼭 알려주세요!

학생이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게 된 경우

학생 또는 동거가족이 보건당국으로부터 자가격리 통지를 받은 경우

학생 또는 동거가족이 코로나19 확진을 받은 경우

기타 감염병 예방관리를 위해 학교가 알아야할 사항이 발생한 경우

3

성폭력 예방 수칙

     성폭력이란?

성폭력이란, 상대방이 싫다고 하는데도 강제로 몸을 만지거나 말이나 행동으로 놀리는 등 성적인 것과 관련하여

옳지 않은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 성적인 내용의 말과 행동으로 불쾌감을 갖게 하는 경우(음란물을 보여주는 경우도 포함)

- 싫다고 하는데도 강제로 생식기 등 중요 부위를 만지는 경우

(친구들끼리 생식기를 만지고 도망가는 장난도 성폭력에 해당됩니다.)

     가족이 함께 배우는 성폭력 예방수칙

1. 다른 사람이 도움을 요청할 때

자신보다 다른 어른이 더 잘 도와줄 수 있으므로 다른 어른들게 부탁해 주세요.”라고 말합니다.

대개 어른들은 어린이들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습니다.

2. 친절하게 다가올 때

기분 좋은 말과 함께 부탁을 하는 경우는 경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빨리 그 자리를 피하고

부모님의 허락 없이는 안돼요.”라고 단호하게 말합니다.

3. 선물을 이용할 때

이유없이 돈이나 선물을 받아서는 안됩니다.

4. 아는 사람인 척할 때

나를 아는 것처럼 다가와 무언가를 물어보거나 함께 가자고 하면 부모님께 연락하고 즉시 자리를 피합니다.

5. 혼자 있을 때

만약 혼자 있는데 누군가 왔다면 가족 이외에 절대 문을 열어주지 말아야 하며 아무도 없는 것처럼 행동합니다.

6. 친구끼리 장난으로 생식기를 만지는 경우

아무리 친한 친구라도 함부로 소중한 부위를 만지는 것은 안됩니다. 그럴 경우 단호하게 싫다고 말합니다.

   이렇게 표현해보세요

불쾌한 감정

표현하기

- 상대방의 행동이나 상황에 대한 비난 없이 말한다.

그 행동이나 상황에 대한 내 느낌을 말한다.

(: “네가 그렇게 내 별명을 부르면 난 기분이 나쁘고 속상해”)

거절하기

상대방의 기대나 요구에 대해 알고 있음을 표현하고 거절하는 이유를 밝힌다.

그 행동이나 상황에 대한 내 느낌을 말한다.

(: “내가 생각하는 것과 달라서 너와 함께 할 수 없어”)

요구하기

상대방이 해주기를 원하는 행동이나 상황을 말한다.

그 행동에 대한 내 감정이나 느낌을 말한다.

(: “나는 아빠/엄마가 무섭게 화를 내지 않고 내 말을 차분하게 들어줬으면 좋겠어요”)

<출처: 가정과 함께하는 성교육 통신 안내, 서울특별시교육청 체육건강과>

 

2021719

 

이전글 2021-61호 여름방학 및 돌봄교실 8월 간식 운영 안내
다음글 2021-59호 2학기 학교우유공급 신청 안내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