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생제 내성이란? - 세균이 특정 항생제에 저항력을 가지고 생존하는 능력. - 항생제를 투여해도 항생제의 효과가 없는 상태 - 항생제 노출에서 살아남은 세균들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항생제 침투를 막거나 항생제 분해효소를 만들어 내성을 갖춤. 내성을 가진 세균은 내성 유전자를 다른 세균에게 전달하여 확산시킴 ○ 항생제 내성의 가장 중요한 원인: 항생제 오용과 남용 - 과도한,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 - 의사의 처방대로 복용하지 않고 임의로 복용법이나 복용량, 기간을 지키지 않음 * 약물 오용: 약물을 질병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지만 잘못된 방법으로 사용 ex. 엄마가 먹다 남은 항생제를 어린 딸에게 먹이는 행동 * 약물 남용 : 질병 치료 목적이 아닌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위해 사용 ex. 잠이 안 올 때 감기약이 효과가 있어 가끔 먹는다. |
○ 항생제 내성의 위험성 - 세균이 항생제에 강해지면, 작은 병도 낫지 않아서 위험해질 수 있음 ○ 항생제 내성 예방수칙 - 의사에게 처방받은 항생제만 복용하기 - 다른 사람 약은 절대 먹지 않기 - 항생제는 처방받은 방법과 기간을 지켜 복용하기 - 항생제 복용 중단은 의사와 상의 후 결정하기 - 손씻기, 예방접종으로 감염 예방하기 ○ 감기, 인플루엔자에는 항생제 불필요 - 감기, 코로나, 인플루엔자는 바이러스 질환이므로 세균을 치료하는 항생제가 불필요 - 바이러스 감염으로 항생제를 예방적으로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나 내성의 위험 증가 ○ 항생제 내성 예방을 위한 노력 - 항생제 내성 문제의 심각성 인식과 예방수칙 준수 - 의사에게 불필요한 항생제 처방을 요구하지 않는 문화 확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