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부송중학교 로고이미지

추진계획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1. 목적

가. 정보화 사회에서 인터넷 정보의 건전한 활용
나. 건전한 사이버문화 정착을 위한 능력배양
다. 유해 정보로부터 학생 보호
라. 교사,학부모의 학생 정보통신윤리교육 지도 능력 배양
마. 가정과 학교현장에서의 정보화 역기능 대처능력 함양 및 건전한 정보이용 생활화 유도

2. 추진 방향

가. 학교에서의 체계적인 정보통신윤리 교육 강화
나. 교사와 학부모의 지도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실시
다. 정보윤리 의식 함양을 위한 사이버 대회 개최
라. 정보통신윤리 교육 담당 조직 운영
마. 건전한 통신문화의 정착을 위한 홍보활동 강화

3. 추진 시기

: 연중

4. 추진 대상

: 학생, 교원, 학부모

5. 추진 내용

가. 학교에서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강화

1) 학생 대상 정보통신윤리 교육 추진
시간 확보 :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 관련 교과(컴퓨터 등) 조회 및 종례 등
교육 내용 : 인터넷 중독 예방 및 휴대폰 중독 예방 건전한 인터넷 이용방법 정보통신언어 순화 교육 올바른 휴대전화 사용 길라잡이 안내
교육 방법 : 학급 담임의 조회 종례시간 활용 교육 외부인사 초청 강연
2) 교사 대상 정보통신윤리 교육 추진
인터넷 중독예방 및 건전한 이용(순기능) 방법 지도요령 교육
직원조회 시간을 통한 정보통신윤리 교육 추진
정보통신윤리교육 교내 자율연수 실시
관련교과와 연계한 영역별 교육 활동 프로그램 개발 지도
3) 학부모 대상 정보통신윤리교육 추진
정보통신윤리 교육 관련 가정통신문 발송
학부모 인터넷 교실 운영시 정보통신윤리 교육 실시
홈페이지(clean.jbedunet.com)를 활용한 사이버윤리교육 활성화 유도
학교 홈페이지 활용 홍보와 교육
4) 교육활동에서의 범교과적인 지도
인성교육 시간을 활용한 정보통신윤리 교육 강화
생활지도와 연계한 지도
5) 개인정보보호 대책 수립
학교 홈페이지를 활용한 개인 정보 보호 방침 탑재
정보통신윤리 교육을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교육 실시
관련 교과를 활용한 상시 교육 프로그램 활용

나. 유관기관과 협력한 프로그램 활성화

1) 외부 강사 초청 정보통신윤리 교육 특강 실시 2) 학부모 및 청소년 정보통신윤리교육자료 활용(정보통신윤리위원회)
http://www.icec.or.kr/ 자료실’에서 다운받아 활용
3) 유해사이트 신고?처리 사이트 개설 및 신속 처리
불법·청소년유해정보신고센터(http://www.internet119.or.kr) 활용

다. 건전한 사이버문화 정착을 위한 활동

1) 학교 행사를 통한 정보통신윤리 의식 확산 대회 개최 및 전시회
포스터 및 표어 그리기, 글짓기 등
정보통신의 날(4월 22일)기념일 : 각종행사, 홈페이지 팝업창 띄우기
캠페인 전개
2) 학교 홈페이지를 통한 인터넷 이용수칙 홍보
인터넷 이용수칙 활용
학교홈페이지에 정보통신 관련 사이트 배너 설치

라. 인터넷 중독 예방 및 상담 프로그램 운영

1) 학교에서의 인터넷 사용 수준 진단 검사 실시
인터넷 사용 수준 진단 프로그램(K-척도) 활용
인터넷 사용 수준 해석 활용
고위험자와 외부 상담이 필요한 유관 협력기관 활용(전북체신청)
2) 중독예방 및 상담교육 실시
인터넷 쉼터 학교 여름 캠프 프로그램 운영 참여(방학 중 -전북체신청)
청소년지원센터와 연계한 상담 실시(학기 중)
3) 학교의 상담실 및 사이버 상담실과 연계한 상담활동 강화
인터넷 중독예방/상담사를 통한 무료상담 및 예방교실 운영

6. 기대효과

가. 정보통신윤리 교육 활성화
1) 학교의 정보통신윤리 교육과정 강화
2) 가정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중요성 인식
3) 사회의 정보통신윤리 교육 저변 확대
나. 정보통신윤리 교육 지도능력 배양
1) 정보통신윤리에 관한 연수 체제 확립 - 학생, 교원, 학생
2) 학교, 가정, 사회를 연계한 정보통신윤리 교육 여건 조성
다. 인터넷 중독 예방 및 상담 프로그램 운영
1) 학교에서의 인터넷 중독 진단 검사
2) 학교의 상담실 및 사이버 상담실 상담활동 강화
라. 유관 기관과 협조 체제 구축
1) 전라북도교육청, 지역교육청, 학교, 가정의 협조체제 구축 2) 정보통신윤리위원회, 불법·청소년유해정보신고센터, 전라북도청소년종합상담센터, 전북체신청, 학부모정보감시단 등 유관 기관 협조체제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