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 목적
-
1) 정기적인 시설설비 관리 및 점검을 통해 유아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공간을 제공한다.
2) 유아 스스로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 생활이 습관화 되도록 한다.
3) 유아·학부모·교직원의 안전의식을 제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안전문화를 조성한다.
- 나. 추진방향
-
1) 매월 시설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2) 유아가 주체가 되는 안전점검을 실시하여 유아에게 적합한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3) 매일 안전교육, 체험 중심의 안전교육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전개한다.
4) 가정통신문을 통해 학부모 안전교육(가정과 연계)을 실시한다.
- 다. 세부추진계획
-
구분 추진내용 시기 안전점검 ⦁‘학교 안전 점검의 날’ 운영
- 교실 및 특별실 안전·위생 점검
⦁ 우정 DAY: ‘우리가 만드는 안전한 교실’ 활동
- 안전점검 하고 싶은 시간과 공간을 유아 간의 상호 협의를 통해 선정 및 점검매월 4일
수시⦁통학차량 교통안전 점검 매일 유아 안전교육 ⦁7대 영역 안전교육 51차시 활동 교육과정 편성
- 안전교육 51차시 별도 제시*
⦁안전 수칙에 따른 ‘5분 안전교육’ 실시
⦁통학버스 비상벨 교육
⦁찾아오는 교통안전교육(3월)
⦁화재 및 지진 대피 훈련
- AR을 통한 시뮬레이션 안전교육
⦁부안소방서 합동 소방 훈련
⦁연령별 체험 중심 재난안전교육 실시
- 3세: 고창삼인안전체험관
- 4세: 군산어린이교통공원
- 5세: 임실 119 안전체험관
⦁ 현장학습 시 사전안전교육 반드시 실시연중
연중
3월, 9월
3월
수시
10월
11월
수시교직원 안전교육 ⦁안전 관련 직무 연수 15시간 이상 이수
- 3년 미만 계약제 교직원: 6개월마다 2시간 이상
- 교육활동참여자: 매 학년도 1회 이상
⦁아동학대예방 및 신고의무자 연수 실시
⦁가정 폭력 예방교육 실시연중 학부모 안전교육 ⦁SNS 및 가정통신문 활용 수시 - 라. 기대효과
-
1) 정기적인 시설설비 관리 및 점검을 통해 유아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2) 유아들이 안전에 대한 지식·기능·태도를 습득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안전 문화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3) 유아가 주체가 되어 실시하는 안전 점검으로 안전에 관심을 가지고 스스로 탐색하려는 자발성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