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고등학교 로고이미지

UNESCO 학교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1. UNESCO학교의 비전과 목표 

 

UNESCO 이념을 통합한 양질의 교육을 통해 평화롭고 지속 가능한 학교와 사회 구현

유네스코학교에서는 인권, 평화, 지속가능발전교육, 세계시민교육과 같은 유네스코의 이념을 학교 교육에 통합하여 수행되는 양질의 교육을 통해 유네스코학교 구성원들이 함께 참여하고 학습하게 됩니다. 여기서 ‘양질의 교육(quality education)’은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우수한 교육’을 의미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네스코학교 구성원들이 세계 시민으로서의 소양을 갖추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하며, 궁극적으로 평화롭고지속 가능한 학교와 사회를 구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합니다.

특히 2030년까지 지속될 지속가능 발전목표(SDGs)와 SDG2030의 달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유네스코학교 활동을 전개합니다.

 

 

2. UNESCO학교의 역할( Since 2014 ~ 현재)

  1) 세계시민교육

  시민은 한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그 공동체와 공동체에서 같이 살아가는 다른 시민들에 대하여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면서 더불어 책임을 다하는 사람입니다. 일반적으로는 국가를 대표적인 공동체로 봅니다. 그런데 시민 앞에 세계라는 말이 붙어있는, 세계시민은 세계라는 공동체, 즉 지구촌의 모든 나라, 모든 사람이 하나의 공동체가 된다고 보고, 지구촌이라는 공동체에서 시민으로서 서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면서도 서로에 대한 책임도 지는 행동을 하는 시민으로 살아가는 것을 말합니다.

세계시민교육은 세계라는 공동체의 시민으로서 살아가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고민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 나라의 시민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해서만 배워서는 세계 시민으로서 생각하고 실천할 수 없을까 라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사실 시민으로서 삶을 잘 배우면 어떤 공동체이든지 시민으로서 역할을 잘할 수 있을 거라는 점에서 세계시민교육을 따로 배우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한 나라에서 일어난 일과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은 그 내용이 매우 다르고, 그 원인, 해결 과정이나 방법 등에 고려할 점에서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한 국가의 시민으로서 필요한 것을 배우는 시민교육만으로는 세계라는 공동체를 고려한 세계 시민적 역할을 잘하는데 충분하지 않다고 보고 세계시민교육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세계시민교육에서는 한 국가라는 경계를 뛰어넘어서 지구촌과 그 안에 살아가는 각국 모든 사람, 세계인들의 삶과 그 환경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알고, 이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공감적 태도, 그리고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실천 등을 할 수 있는 세계시민으로서의 태도를 배우는 것을 강조합니다.

지구촌에서의 삶은 세계화 등으로 인해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최근 들어서 그 긴밀성은 더 더구나 높아지고 있습니다. 브렉시트와 같은 영국의 정치적 상황이 유럽 이외 다른 나라의 정치에 미치는 영향력이나, 중국의 경제 성장이 다른 나라의 경제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보면, 한 나라의 의사결정에 따른 영향력이 국경을 한정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과거와 비교해 상품, 자본, 사람들의 이동만이 국경을 넘는 것이 아닙니다. 병원균, 미세먼지, 가치관 등 다양한 것이 국경을 넘나들면서 동시에 세계 전체와 지구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현실에서 세계 모든 사람은 지구라는 하나의 배를 타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지구라는 배가 잘 운항하기 위해서는 배도 튼튼해야 하지만, 그 안에 타고 있는 사람들 간에도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바로 이를 위해 세계시민교육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세계시민교육은 “지구라는 한 공간에서 상호 의존적으로 살아가는 세계 시민들이 하나의 공동체임을 인식하고 상호 존중을 통해 세계 시민으로서 책임감 있는 역할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은 지속가능발전의 개념과 내용, 절차 등에 대한 학습 과정인 동시에 지속가능발전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능력과 의지를 길러주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개인에서부터 가정, 학교, 지역사회, 국가, 국제사회에 이르기까지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쟁점을 이해하고 진단하며 해소하기 위한 교육을 말하는 것입니다.

교육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실천전략의 하나입니다. 지속가능발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가치관과 역량, 비전을 갖고, 일상에서 이를 실천해 나가는 것이 꼭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국제사회는 2002년 유엔총회에서 2005년부터 2014년까지의 10년을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DESD)’으로 지정하였고, 유네스코를 그 선도기관으로 지정하였습니다. 또한 DESD가 종료되는 2014년, 유네스코는 더욱 실천적인 국제사회의 노력을 촉구하는 차원에서 ESD를 위한 국제실천프로그램(Global Action Programme: GAP)을 제시하였습니다. 이어 2019년 11월 열린 제40차 유네스코 총회에서는 GAP의 종료 시점에 즈음해 2019년 이후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이행 체계로 “2030을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for 2030)을 채택하여 이를 교육에 산입하여 활동합니다.

 

 

 

부 안 고 등 학 교 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