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전반크

Voluntary Agency  

Network of Korea  

기전여고와 

함께하는 반크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

이름 권희현 등록일 20.11.13 조회수 937
첨부파일

19827, 19834월 이후 사용될 일본의 초··고교 역사 교과서에서 한국의 고대사, 근대사, 현대사 등을 모두 왜곡 기술하였다. 특히 현대사 부분을 가장 심각하게 왜곡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 침략진출, 외교권 박탈과 내정 장악을 접수, 토지 약탈을 토지소유권 확인, 관유지로의 접수’, 독립운동 탄압을 치안유지 도모등으로 호도하였다. 이외에 조선어 말살정책을 조선어와 일본어가 공용어로 사용’, 신사참배 강요를 신사참배장려등으로 왜곡 기술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일본역사교과서왜곡사건 [日本歷史敎科書歪曲事件]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독도>

2020-11-13 (2)
2020-11-13 (3)
 

<을미사변>

‘을미사변’은 1895년 (고종32년) 8월 20일(양력 10월 8일) 새벽 일본 자객들이 경복궁을 습격해 명성황후를 살해한 사건이다.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가 주동자이고, 일본군과 경찰, 낭인 등 48명이 살해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살해범들의 구성으로 볼 때 일본의 공권력 집단이 서울 한복판에서 자행한 조선 왕후 살해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게다가 일본군은 명성황후를 잔인하게 살해한 뒤, 시신을 근처 산으로 옮겨 장작을 올려 휘발유를 붓고 불태웠다. 사건에 대한 증거를 조직적으로 은폐하려 한 것이다.
일본 정부는 증거 불충분의 이유를 들어 범행에 가담한 48명의 살해범 모두에 대해 무죄를 주장했다. 결국 사과는 없었다. 오히려 일본은 명성황후를 살해한 뒤 단발령을 반포하는 등 조선에 대한 침략 정책을 강화했다.
문제는 ‘을미사변’이 일본의 국가적 범죄임에도 일본 사회에는 ‘을미사변’이 일어났다는 사실조차도 모르고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일본의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서 ‘을미사변’을 제대로 다룬 교과서가 거의 없다.
'을미사변’과 관련한 기술도 다르지 않다. 일본의 중학교 역사교과서 8종 가운데 을미사변을 다룬 교과서는 마나비샤 교과서 단 1권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내용을 축소했고, 일본의 입장에서 왜곡해 기술하는 등 올바른 내용을 담지 않고 있다.
 

<위안부, 대동아 전쟁 등>

일본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한 2021년도 중학교 역사교과서 견본 7개 가운데 3개 교과서가 '종군위안부'를 부실하게 언급하는 등 역사왜곡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합뉴스가 7일 보도했다.
7일 재일동포 중심단체인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에 따르면 1993년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관방장관이 위안부에게 사과한다는 내용의 담화를 계기로 1997년부터 일본 모든 중학교과서들은 종군위안부를 기술했다.
그러나 일본 극우단체인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등이 강력히 항의하자 일본 출판사들이 종군위안부를 잇따라 삭제해왔다.
특히 2021년도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역사왜곡은 종전보다 심화됐다.
'마나비야'(學び舍) 출판사의 역사교과서 '다시 묻는 전후' 부문에서는 1991년 위안부 김학순 씨의 증언, 1993년 고노 요헤이 관방장관 담화가 부실하게 언급돼 있다.
야마가와(山川) 출판사는 전쟁터에 설치된 위안부시설에는 조선·중국·필리핀 등의 여성이 모여들었다고 기술했다.도쿄쇼세키한(東京書籍版)에는 '종군위안부'라는 단어는 등장하지 않지만 이를 설명하는 기술이 게재됐다.
민단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우경화하는 일본 정부의 검정 지침 등의 영향으로 일부 교과서만 위안부를 기술했고 강제 모집 내용을 빼는 등 내용도 부실하다"고 지적했다.
역사 왜곡으로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 이쿠호샤(育鵬社)는 이번 교과서에서 경술국치 후 조선의 변화를 표로 표현하며 쌀 생산량과 학교 수가 증가했다고 기술했다.
이는 마치 식민지화 덕택에 조선인의 삶이 나아진 것처럼 미화한 것으로, 실제 증산된 쌀은 모두 일본으로 옮겨졌다는 내용을 언급하지 않았고, 조선 역사와 조선어 수업을 금지한 탄압 사실도 밝히지 않고 있다고 민단은강조했다.
이쿠호샤가 태평양전쟁이라는 용어 대신 아시아를 식민지로부터 해방한 전쟁으로 오해를 살 수 있는 '대동아전쟁'이란 용어로 사용해 전쟁을 미화한 것도 문제라고 덧붙였다 

다음글 3.15 의거 59주년 기념 민주,인권 교육 주간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