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전UN기자단

기전UN기자단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기전UN기자단은 우리 주변의 작은 사건부터 국제적인 큰 사건까지 평소에 관심은 있어도 자세히는 몰랐던 일들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도전하는 동아리입니다.

작게는 국내이슈부터 크게는 기아,폭력,환경 문제까지 생각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작게나마 행동하는 동아리!

 

"혼자서는 하기 힘든 일도 함께 모이면 할 수 있습니다."

비폭력, 불복종, 비협력의 정의를 알아볼까요?

이름 김소연 등록일 12.11.20 조회수 463
불복종(不服從)·비협력(非協力)·비폭력(非暴力)의 무저항주의.





불복종(不服從)·비협력(非協力)·비폭력(非暴力)의 무저항주의. 인도의 독립투쟁 과정 중에 생긴 사회정치적·종교철학적 독트린으로 창시자 M.K. 간디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 정치적 원리와 특징은 ① 민중의 광범한 비폭력해방투쟁 참여로 평화적 방법에 의한 인도 독립의 달성 ② 인도 국회 지도하에 모든 인도 국민을 종교·국적·카스트(계급)를 초월하여 통일된 독립투쟁에 참여하게 한다는 것 ③ 농민보호, 자본가의 노동자보호라는 이념으로 계급의 평화를 달성하고 중재로 계급분쟁을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 ④ 가부장적(家父長的) 관계의 이상화 ⑤ 인도의 부락공동체와 가내수공업의 혁신 ⑥ 민중의 종교심에 대한 호소였다. 독립을 위한 비폭력투쟁 전술은 사티야그라하(진리파악)라 불렀는데 이것은 비협조와 시민 불복종이라는 두 형태로 표현되었다. 비협조는 영국에서 수여하는 직함의 거절 및 국가교육제도의 보이콧, 평화적 시위 편성을 포함하였고, 시민 불복종은 일부의 식민정부 법률위반, 정치적 스트라이크 또는 불매운동, 이례적으로는 납세거부형태로 나타났다. 간디주의는 철학적으로 간디가 진실과 동일시했던 신(神)의 뜻으로 이루어진 현실이란 점에 바탕을 두고, 상호양보로 영국 당국과의 특정분쟁과 사회적 모순을 협상·협정으로 해결하려는 데 특징이 있다. 진실의 달성은 도덕적 자아실현 과정에 연결되어 있으며 자아실현은 아힘사(비폭력)라는 개념과의 관련에서 이해되고 있다. 자아실현의 바탕은 사랑의 법칙과 인고의 법칙이므로 이에 따라 아힘사신봉자들은 의식적으로 인고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자기희생을 치를 각오가 되어 있어야 한다. 이 개념에서 자기욕구의 의식적·자발적 자제(自制), 안락의 거절, 금욕적 생활방식의 수용이라는 가르침이 나왔다. 간디주의는 사회의 상태가 국민의 윤리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였으며 정치를 윤리에 바탕을 두고 운영하려 하였다. 또한 인간의 윤리적 의지의 표현인 수단은 결과보다 우위에 있음을 선언하고 수단이야말로 정치활동의 판단기준이 된다고 하였다.



다음글 Scilla Elworthy 비폭력으로 싸워나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