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전UN기자단

기전UN기자단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기전UN기자단은 우리 주변의 작은 사건부터 국제적인 큰 사건까지 평소에 관심은 있어도 자세히는 몰랐던 일들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도전하는 동아리입니다.

작게는 국내이슈부터 크게는 기아,폭력,환경 문제까지 생각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작게나마 행동하는 동아리!

 

"혼자서는 하기 힘든 일도 함께 모이면 할 수 있습니다."

"월드컵 덕에 여성 법조인 100여명 더 나왔다"

이름 김예지 등록일 12.11.20 조회수 867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박종희 교수 논문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4년마다 열리는 월드컵 축구대회가 국내 법조계의 `여성 파워'를 강화하는 데 적잖게 기여했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학계에 따르면 서울대 정치외교학부(외교학 전공) 박종희 교수는 미국 워싱턴대 앤드류 마틴 교수와 함께 최근 `붉은악마가 한국 법조인을 다양하게 했는가'라는 제목의 논문을 썼다.

이 논문은 "2000년대 들어 월드컵의 영향으로 여성 법조인이 100여명 더 선발됐다"는 결론을 담고 있다.

박 교수는 4년 주기로 6월에 열리는 월드컵이 매년 6월말 치러지는 사시(사법시험) 2차 시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실제로 사법시험 당락을 결정하는 2차 시험을 앞두고 월드컵이 시작되기 때문에 TV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 남자 고시생들의 집중력이 흐트러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축구에 덜 열광적인 여성 응시생들이 유리해지는 결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한 것이다.

월드컵과 사시 성적의 인과관계는 법조계와 고시촌에서는 오래 전부터 회자돼 왔으나 연구방법론을 적용해 이를 실증적으로 입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 교수는 한국이 월드컵을 일본과 공동 개최해 4강까지 오른 2002년을 기점으로 축구 인기가 급상승했다는 점에 착안, 2002~2010년 세 차례 월드컵이 모두 사시 2차 시험 일정과 100% 겹쳐 시험 결과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가정했다.

이어 1차 시험에 합격하면 그 해와 이듬해 연속해서 2차 시험을 볼 수 있는 점, 2차 시험에 합격하면 3차 시험은 거의 예외없이 통과하는 점 등을 고려하고, 2차 여성 합격자 비율을 종속변수로 삼아 연구모델을 설계했다.

연구 결과 `월드컵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2003~2012년 여성 응시자 106명(신뢰구간 95%)이 사시 2차시험 문턱을 추가로 넘어 법조계에 입성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월드컵은 성비(性比) 측면에서 법조인력의 다양성을 진전시키는 데 도움을 줬다는 해석이 나왔다.

그는 "한국은 변호사 수가 5천178명 중 1명으로, 265명 중 1명인 미국에 비해 매우 적은 편"이라며 "법조계 규모를 감안했을 때 월드컵 효과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사법개혁의 일환으로 로스쿨 제도가 시행되고 사시가 2017년을 끝으로 폐지됨에 따라 이런 효과도 점차 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hanjh@yna.co.kr
(끝)
이전글 버스 운행 전면 중단 예고…교통 대란 우려
다음글 "교통사고 현장 블동 600만원" 피해자 피말리는 악덕 상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