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전여고 사회토론부 A.O(Approve Opposite) 의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A.O는 정치, 경제, 문화, 방송, 환경 등 다방면에서의 사회적 이슈에 관한 주제로 논의하고 토론하는 동아리입니다.
[한겨레 사설] 재벌 중심 경제론 ‘1인당 2만달러’ 못 벗어난다 |
|||||
---|---|---|---|---|---|
이름 | 홍주은 | 등록일 | 17.04.01 | 조회수 | 720 |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7561달러(3198만원)로 잠정 집계됐다고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한 나라의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것이다. 그 나라 국민의 생활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은 2006년 2만달러를 돌파한 이후 11년째 3만달러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2만달러에서 3만달러로 가는 데 독일이 4년, 일본은 5년, 미국이 9년 걸린 것과 비교하면 너무 오랜 시간 ‘2만달러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이명박-박근혜 정부의 ‘1인당 국민총소득 4만달러’ 공약은 한마디로 허황된 숫자놀음이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07년 대통령 선거 때 ‘747 공약’에서 10년 안에 1인당 국민총소득 4만달러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공언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4년 2월 발표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서 3년 안에 1인당 국민총소득 4만달러로 가는 초석을 다지겠다고 장담했다. 19대 대통령 선거에선 이런 사탕발림으로 국민을 속이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4년 2월25일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발표하면서 3년 안에 1인당 국민총소득 4만달러로 가는 초석을 다지겠다고 밝혔다. 한겨레 자료사진 공정한 시장경제가 작동해야 창조적 파괴가 가능하고 눈앞으로 닥쳐온 4차 산업혁명 시대를 헤쳐나갈 수 있다. 경제 민주화는 양극화 해소를 위한 분배정책일 뿐 아니라,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모델이기도 하다. 나의 의견// 현재까지 우리나라는 대기업 중심으로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하지만, 이제는 대기업들이 고용없는 성장을 하려고 하고 있고, 계속 이상황이 지속되면 청년들의 취업난은 갈수록 악화될 것이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성장 |
이전글 | 韓관광 금지 2주째…한국 안 오고 중국 안 간다 |
---|---|
다음글 | [사설] 자영업 ‘빚 폭탄’, 또 소 잃고 외양간 고칠 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