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전여고 사회토론부 A.O(Approve Opposite) 의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A.O는 정치, 경제, 문화, 방송, 환경 등 다방면에서의 사회적 이슈에 관한 주제로 논의하고 토론하는 동아리입니다.
<사설> 인터넷 마약 유통 루트 봉쇄하라 |
|||||
---|---|---|---|---|---|
이름 | 정혜빈 | 등록일 | 15.11.04 | 조회수 | 822 |
마약이 독버섯처럼 번지고 있다. 특히 인터넷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주부, 학생 등 평범한 시민들도 무방비로 마약의 유혹에 노출되고 있어 심각성을 더해 주고 있다. 마약의 유혹으로 패가망신하는 선량한 피해자가 더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사법 당국은 유통 경로를 철저히 차단해야 할 것이다. 올 들어 지금까지 적발된 마약사범은 무려 8930명에 이른다. 적발 인원이 이 정도면 실제 마약에 빠져들었거나 유통 등에 가담한 사람은 이보다 훨씬 많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인구 10만명당 마약사범 20명 이하를 기준으로 하는 ‘마약청정국’의 지위도 위태로운 상황이다. 가장 우려스러운 것은 그동안 유흥가 등에서 은밀하게 유통되던 마약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공공연하게 유통되는 데 있다. 인터넷이나 SNS 등을 통해 누구나 손쉽게 마약을 손에 넣을 수 있다니 이 지경이 될 때까지 사법 당국은 무엇을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서울신문의 취재 결과 인터넷에 떠도는 전화번호로 마약 판매상에게 메시지를 보내자 10초 만에 답신이 왔다고 한다. 다짜고짜 구입량과 구입 시기, 받을 지역을 알려주면 원하는 만큼(주문 가격)의 마약을 보내 준다고 했다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여기에다 우편물을 통한 해외직구 사례도 늘고 있어 심각성을 더한다. 국제특송을 통한 마약 밀수는 2009년 100건에서 지난해 268건으로 2.7배나 증가했다. 올해도 벌써 208건에 이르러 마약이 생활용품을 구매하는 것처럼 쉬운 일이 된 느낌이다. 이런 연유로 청소년과 가정주부까지 손쉽게 마약에 빠져들고 있다. 올해 적발된 마약사범 가운데 10대는 10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9명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었다. 가정주부도 11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70명보다 무려 62.9%나 증가했다고 하니 중대한 사회문제가 아닐 수 없다. 마약은 개인의 삶뿐 아니라 가정과 사회를 병들게 한다. 싱가포르, 중국 등 상당수 국가들이 마약사범을 사형 등 중죄로 다스리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마약 유통이 지금처럼 방치되다시피 한다면 파키스탄 등 동남아 일부 국가들처럼 더이상 손쓰기 어려운 지경에 이를 수 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이 없도록 사법 당국의 철저한 대비와 강력한 단속이 요구된다. |
이전글 | <사설> 기부 위축시키는 세제 언제까지 방치할 건가 |
---|---|
다음글 | <사설>안이한 정책 판단이 자초한 ‘명품 個消稅 인하’ 번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