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토론부

기전여고 사회토론부 A.O(Approve Opposite) 의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A.O는 정치, 경제, 문화, 방송, 환경 등 다방면에서의 사회적 이슈에 관한 주제로 논의하고 토론하는 동아리입니다.

돈 안되는 학과 없애야 할까?

이름 배새별 등록일 13.11.01 조회수 1260
중앙대학교가 인문사회계열의 아시아문화학부 비교민속학과 등 비인기 학과의 구조조정을 사실상 확정했다. 중앙대 관계자는 지난 5월30일 “교무위원회에서 해당 안건을 통과시켰다”며 “사실상 학과 통폐합이 결정됐다”고 말했다. 대학본부는 다음 달 열리는 교무위원회와 대학평의원회의의 심의를 거친 후 전공 폐지와 관련해 학칙을 개정할 예정이다.
이번 통폐합은 총 정원에 변화가 없는 구조조정이기 때문에 교육부의 승인을 거칠 필요도 없다.
폐지되는 학과는 전공 선택 비율이 낮은 인문대학 아시아문화학부 비교민속학과와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부 아동복지학과·청소년학과·가족복지학과 등 4개 학과다. 해당 학과들의 2개년 평균 전공선택비율은 비교민속학전공 5.1%, 아동복지학전공 2.2%, 청소년전공 7.1%, 가족복지전공 3.3%다. 학교는 학문단위 개편을 적용해 내년부터 해당 학과의 신입생을 받지 않을 예정이다.
이산호 입학처장(인문대학 유럽문화학부 교수)은 “학교가 실용학문 위주로 개편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지만 기초학문인 역사와 철학, 문학 등은 꾸준히 지원하고 강화하고 있다”며 “학교를 경영하는 입장에서 구조조정이 불가피했고 전공 선택 비율이 낮다는 것은 사회적 수요가 많지 않다는 것을 뜻할 수도 있다.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을 따른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구조조정안에 대한 결정은 끝이 났고 그 후속조치를 논의해야 할 시기”라며 “학생의 수업권과 교수의 교육·연구권을 보장하기 위한 가장 합리적인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본부는 폐지되는 학과에 재학 중인 2~4학년의 수업권을 존중하기 위해 졸업할 때까지는 해당 학과의 수업을 지속할 방침이다. 또한 전과와 복수전공 등을 폭넓게 허용해 학생들의 선택권을 보장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학과의 교수들은 학문의 연관성이 있는 학과나 학부로 흡수될 예정이다.
하지만 이 같은 구조조정에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중앙대 단과대별 학생회로 구성된 구조조정 공동대책위원회는 성명서를 통해 “이번 구조조정은 비단 4개 학과만의 문제가 아니라 77개 학과를 40여개로 재편했던 2010년 구조조정의 연장선상에 있다”며 “2011년 가정교육과가 일방적으로 폐과됐던 사실로 미뤄보면 학교는 구조조정을 상시적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걱정했다.
앞서 중앙대는 2010년 학생·교수 등의 의견을 듣지 않고 학문단위 조정을 통해 18개 단과대 77개 학과를 10개 단과대 46개 학과·학부로 통폐합해 학내 구성원들의 거센 반발을 샀다. 구조조정에 반발하며 시위를 벌인 일부 총학생회 간부는 무기정학 등의 중징계를 받기도 했다
중앙대의 한 교수는 “구조조정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이번 학과 폐지는 일방적인 통보와 독단적인 집행으로 이뤄졌다”며 “학내 구성원을 설득하는 과정을 생략해 결과적으로 구성원간의 낭비적인 갈등을 야기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근본적으로 이번 문제는 2008년 두산그룹이 재단으로 들어오며 취업률이 높아 질 거라는 지극히 피상적 발상으로 통폐합을 졸속으로 추진한 것에 대한 폐해”라며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사회 구성원을 배출하기 위한 학교의 비전과 목표를 뚜렷하게 세워야한다”고 지적했다.
김지은 기자, <뉴시스> 2013-05-30, 기사

국립대 자퇴생 10명 중 7명 ‘이공계’

최근 3년동안 국립대학을 자퇴한 학생 10명 가운데 7명은 이공계 소속인 것으로 조사됐다.
8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 소속 이상민 의원(민주통합당)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제출받은 2009~2011년 국립대학 이공계 자퇴생 현황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모두 1만6천434명의 이공계 재학생이 스스로 학교를 떠났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국립대 자퇴생 2만4천679명의 66.2%에 해당한다. 대학별 이공계 자퇴생은 충주대가 1천332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전남대(1천265명), 부산대(1천73명), 경북대(1천11명), 한경대(927명), 경상대(907명), 경남과학기술대(804명), 강원대(716명) 등의 순이었다. 2010년부터 올해 현재까지 사립대의 이공계 자퇴생은 모두 4만3천557명으로 같은 기간 전체 자퇴생 (10만5천860명)의 35.7%를 차지했다. 이상민 의원은 “이공계 자퇴 현상이 해를 거듭할수록 더 심해지고 있다”며 “이공계 등록금을 낮추고 장학금 수혜율을 높이는 등 실질적 혜택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전글 한일 극우들, 역사왜곡에 통하다 (2)
다음글 월급쟁이가 유리지갑인 이유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