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이 전국 14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과 새로운 악취 시험법 도입을 위한 연구 사업을 4월 7일부터 8개월 동안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기존 악취 배출시설 중심의 악취 농도 관리에서 악취 영향을 받는 주민들이 실제로 불편한 정도를 고려한 현장후각측정법을 새로 도입하기 위해 추진됐다. 국립환경과학원과 14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전국의 악취 배출원 7곳을 선정해 현장후각측정법을 수행한다. 현장후각측정법은 측정지점에서 악취판정요원이 10분 간 머물면서 10초 마다 냄새 감지를 시도하여 측정하며, 측정한 횟수의 10% 이상 악취가 감지되었다면 1 악취시간이라고 계산한다. 예를 들어 60회 중 6회 이상 악취가 감지될 경우 1 악취시간이 된다. 선정된 7곳은 서울 하수도 주변지역과 전북 완주군 양돈장 주변 지역이며, 평소 악취 관련 민원이 많은 곳이다. 현재 악취 실태조사는 악취방지법 제4조에 따라 시도에서 악취관리지역을 대상으로 대기 중 지정악취물질의 농도와 복합악취 등을 주기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대부분의 악취관리지역에서 악취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하고 있으나, 악취 민원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악취는 측정 시점의 조업 여건이나 기상 상황 등에 따라 측정결과가 상이하고, 순간적·국지적으로 발생·소멸하는 특성 때문에 악취농도기준 이내의 경우에도 주민들이 악취를 느낄 수 있다. 전국의 악취 민원은 2005년 4,302건에서 2015년 1만 5,573건으로 증가하는 등 지난 10년 간 3.6배가 증가했다. 특히 하수도, 음식점 등 악취 비규제 시설과 악취관리지역 외 사업장 부근에서 악취 민원이 급증하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새로운 악취 시험법이 도입되면 악취 민원의 해소를 비롯해 피해 주민의 악취 체감도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상보 국립환경과학원 대기공학연구과장은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주민의 악취불편 정도가 고려된 새로운 시험법이 도입되면 향후 악취 민원 해소와 피해 주민의 악취 체감도 개선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악취' 민원 적극 대응…직접 악취 맡는 '현장후각측정' 도입 국립환경과학원, 8개월 간 민원다발지역서 시행(서울=뉴스1) 이준규 기자 | 2017-04-06 13:47 송고
| © News1 |
국립환경과학원은 6일 전국 14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과 새로운 악취 시험법 도입을 위한 연구사업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서울 등 악취 민원이 많은 전국 7곳에서 8개월 동안 실시되는 이번 사업은 기존 악취 배출시설 중심의 관리에서 벗어나 주민들의 실제 불편을 고려하기 위한 '현장후각측정법' 도입을 위한 것이다.
현재 악취 실태조사는 '악취방지법' 제4조에 따라 각 시·도가 악취관리지역을 대상으로 암모니아와 황화수소 등 지정된 악취물질의 농도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돼 왔으며 대부분의 지역이 허용기준을 만족하고 있다.
그러나 전국의 악취민원은 2005년 4302건에서 2015년 1만 5573건으로 3.6배 증가해 측정법이 현실과 동떨어졌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현장후각측정법은 악취판정요원이 측정지점에 10분 동안 머물면서 10초마다 냄새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악취가 느껴지는 횟수가 전체 측정횟수의 10%를 넘을 때마다 1 악취시간(odor-hour)으로 계산을 한다. 예를 들어 60회 측정을 했는데 6회 악취가 감지되면 1 악취시간이 된다.
이상보 환경과학원 대기공학연구과장은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주민의 악취불편 정도가 고려된 새로운 시험법이 도입되면 향후 악취 민원 해소와 피해 주민의 악취 체감도 개선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의 의견 '냄새'는 감정을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감정 그 자체가 될 수도 있다. 좌절의 감정과 낯선 냄새를 결부시키면 나중에 그 냄새를 통해 좌절의 분위기를 조성하여 행동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어떤 연구에서 아이들에게 예전에 미로 찾기를 성곡하지 못했을 때 맡았던 냄새를 맡게 하고 테스트를 했더니, 다른 냄새에 노출되거나 아무 냄새도 맡지 않은 아이들보다 동기 부여도 떨어지고 성적도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또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는 '좌절과 관련된 냄새'를 맡은 사람들이 도전적인 단어 문제를 풀 때 그런 냄새를 맡지 않는 사람보다 집중력도 떨어지고 의욕도 약했다고 한다. 냄새가 불러일으키는 긍정적인 연상도 긍정적인 감정 상태를 이끌 수 있으며, 이런 관계를 잘 이용하면 사회에 많은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 특정 냄새와 지적인 능력을 결부시켜서 직장이나 학교에서 까다로운 일을 할 때 이 냄새를 맡게 하면, 학문 능력이나 근로 의욕이 떨어지는 사람의 성취도와 생산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 또한 특정한 냄새를 긍정적인 감정과 연관시키면 이 냄새를 통해 폭력적이거나 반사회적인 행동을 줄일 수 있다. 듀크 대학의 심리학 교수 '수잔시프먼'은 향기가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기분 좋은 냄새를 뉴욕의 지하철에 뿌려 승객들의 행동을 관찰하였는데, 실제로 향기를 뿌린 객차의 승객들이 그렇지 않는 승객들보다 서로 밀치고 당기거나 무례한 말을 하는 빈도가 절반에 불과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한다. (출처 : 욕망을 부르는 향기 - 레이첼 허즈) 이처럼 우리의 후각은 단순히 냄새를 인지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감정과 관련된 기억을 들추어 우리에게 감정 그 자체로 다가올 수 있고 이는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때문에 더 활기차고 생산력있는 지역사회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악취를 없애 사람들에게 기분 좋은 향기를 보장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