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품(독서)

'앞으로 좋게 발전할 품질이나 품성'이라는 뜻을 가진 전북여자고등학교 독서 동아리 <늘품> 입니다. 


교내 4층에 위치한 도서관에 매일 점심시간마다 모여 학생들의 대출과 반납을 돕고,  신간 도서를 등록하여 정리하는 일을 합니다. 그 외 활동으로는 문학 기행, 독서 캠프, 교내 독서 퀴즈 대회 등 도서와 관련된 행사를 주최하여 진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서의 역할

이름 하승아 등록일 25.08.13 조회수 9

20115 신조은, 20424 하승아, 20524 황다경, 20813 양민영

 

사서는 책과 가까운 사람인가, 행정일과 가까운 사람인가

 

책과 가까워야 한다 팀 주장

첫째, 사서의 주된 임무는 자료 수집, 분류, 목록 작성, 보존, 폐기 등 책과 정보 자료를 다루는 일임. 행정 업무는 보조적인 성격이고, 모든 절차의 목적이 자료를 이용자에게 적절히 제공하기 위함임.

 

둘째, 사서 자격을 얻으려면 문헌정보학을 전공하거나 관련 과목을 이수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배우는 건 주로 분류 체계, 목록 작성 등 책과 관련된 기술들이다. 이는 일반 행정직이 배우는 회계·인사·총무와는 다른 책과 자료 특화된 지식임.

 

셋째, 도서관의 설립 목적 자체가 ‘지식과 정보의 수집, 보존, 제공이므로, 사서의 모든 활동은 책과 자료를 이용자에게 연결하는 데 중점을 둠. 행정은 운영을 원활히 하기 위한 수단일 뿐, 사서의 핵심 역할은 여전히 자료 관리임.

 

행정일과 가까워야 한다 팀 주장 

첫째, 정보 환경의 변화로 종이책 중심 업무는 줄어들고 전자자료,데이터베이스, 온라인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음. 전자자료 구독 계약이나 저작권 협상은 책과의 친밀도보다 행정,계약,정책 조율 능력 등 중요함. 

 

둘째, 공공성과 책무성 확보를 위해서도 행정 역량이 필요함. 도서관은 세금과 예산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투명한 예산 집행과 사업 관리가 필수임. 만약 행정에 약한 사서라면 예산 낭비나 사업 지연이 발생할 수 있음

 

셋째, 이용자 중심이 되는 프로그램 기획에도 행정력이 필요함. 독서 프로그램, 강연, 전시 등은 기획, 예산 승인, 홍보나 진행, 평가의 행정 과정을 거쳐야 성공적으로 운영됨.

 

책 팀 반론

행정 능력은 도서관 운영의 한 축이지만 사서의 본질은 자료(책, 전자자료) 선정, 관리, 제공에 있습니다 

현대 도서관이 발전하려면 자료 전문성과 기초 행정 능력이 필요하지만 주도권은 자료 이해와 정보 서비스 역량이 쥐고 있어야 합니다. 행정 중심으로 기울면 도서관이 서류 처리 기관 으로 변질되어 본래의 지식, 정보 허브 역할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예산 집행의 효율성을 위해서도 자료 선정 전문성이 먼저입니다. 예산을 투명하게 써도, 엉뚱한 책, 자료에 쓰면 낭비가 되기 때문이고, 그렇기 때문에 책을 평가하는 능력을 가진 사서의 능력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행정팀 반론 

1번 주장에 대한 반박

사서의 주된 일이 책을 다루는 거라고 했는데, 그건 예전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요즘 도서관은 예산 관리, 프로그램 기획, 인력 조정 같은 행정 업무가 정말 많다. 예산이나 계약이 안 되면 이용자한테 제공조차 못 하게된다. 그래서 행정이 그냥 보조가 아니라 필수라고 생각한다.

 

2번 주장에 대한 반박

사서 자격을 따는 과정에서 책 관련 기술을 배우는 건 기본 중의 기본이다. 실제로 도서관에서 일하면 사업 기획, 예산 쓰기, 보고서 작성 같은 행정 일을 계속하게 된다.책 지식만 있으면 전자자료나 온라인 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같은 건 제대로 못 하게된다.

 

3번 주장에 대한 반박

도서관 목적이 자료를 제공하는 거라서 행정은 수단이라고 했는데, 그 수단이 무너지면 목적도 못 이룬다고 생각한다. 예산이 없거나 절차가 꼬이면 책도 못 사고, 프로그램도 멈춘다. 결국 행정이 있어야 자료 제공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결론 

정보화 시대의 도서관은 더 이상 책만 다루는 공간이 아니다. 방대한 전자자료, 데이터베이스, 온라인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시민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행정력과 정보 관리 능력이 핵심이다. 행정이야말로 현대 사서를 움직이는 엔진이다.

이전글 수술의 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