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을 학문적 가치와 더불어 체험 활동, 탐구 활동을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봄으로써 수학적 창의력, 사고력 증진.
▷수학 교구를 이용한 체험 학습 (오더리 삼각형, 오더리 사각형, 마름모 삼십면체-정십이면체 위에 정이십면체, 파라코드 매듭 팔찌, 아이큐 퍼즐, 케플러-푸엥소 오목다면체, 세팍타크로 공, 토러스 링 등)
▷보드 게임 속에 적용된 수학 원리 파악 (아발론, 스플렌더, 퍼펙션 게임, 트라이앵글 메이커, 스키왐푸스, 상호지지 구조물 만들기 등)
▷창의력 문제 같이 풀기, 멘사코리아 문제 풀기, 스도쿠, 가로쿠, 노노그램 등
연립 일차방정식을 이용한 CT 촬영 |
|||||
---|---|---|---|---|---|
이름 | 문시현 | 등록일 | 20.12.22 | 조회수 | 2353 |
첨부파일 | |||||
<CT의 원리-연립 일차방정식>
X선 - 1895년 독일 물리학자 뢴트겐이 전자기파인 음극선 실험을 하다 우연히 X선 발견 - X선의 활용 - 절단하지 않고 몸 속 상태 확인, 공항에서 손쉽게 가방 속 확인
CT(컴퓨터 단층 촬영 기기) - 1979년 미국 물리학자 앨런 코맥과 영국 공학 기술자 고드프리 하우스 필드의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에 의해 세상에 알려짐 - CT 진단법 : 신체에 X선을 여러 각도로 쬐어 처음 쏜 X선의 에너지 양과 통과한 X선의 에너지 양의 차이를 계산하는 촬영 기술 *X선은 뼈 같이 밀도가 높은 부분을 통과할 때는 에너지가 많이 줄어들고, 근육 같이 밀도가 낮은 부분을 통과할 때는 에너지가적게 줄어든다
CT의 원리 - 1917년 오스트리아 수학자 요한 라돈에 의해 기본 원리 밝혀짐 [어떤 입체 도형이 존재할 때, 어느 방향에서든지 평면으로 자른 단면의 넓이를 알면 방정식을 세워 다시 원래의 입체 도형으로복원할 수 있다] - 이때 아주 기초가 되는 원리가 연립 일차방정식이다
1. 처음 쏜 X선의 에너지 양이 10, 통과한 X선의 에너지 양이 2면 x+t+h=8 2. 처음 쏜 X선의 에너지 양이 10, 통과한 X선의 에너지 양이 2면 y+t+w+r=3 - 이런 식으로 X선 방향 계속 바꾸면서 모든 영역의 매지수가 포함된 여러 개의 일차방정식을 세운다면, 이를 연립방정식으로 묶어 해를 구할 수 있음 = 각 영역에서 흡수한 에너지 양 알 수 있음
*문제-각 영역에서 사라진 에너지
|
이전글 |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크기 측정(1-6 박*민) |
---|---|
다음글 | '수학으로 힐링하기'를 읽고 (2-1 이*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