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5-1반 담임교사 조윤정입니다.
용소초등학교 5학년 1반 친구들을 만나게 되서 진심으로 기쁩니다.
앞으로 함께 할 1년의 시간들 속에서 우리 함께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며 배움의 즐거움이 있는 교실을 만들어 가도록 해요. 혼자가 아닌 공동체 속에서 친구와 함께 배워가는 즐거움이 있는 교실 만들어가요.^^
베토벤 |
|||||
---|---|---|---|---|---|
이름 | 박지온 | 등록일 | 21.11.07 | 조회수 | 9 |
출생~사망 :1770년~1827년 본(Bonn)에서 12월 17일 태어났다(추정). 같은 해의 태생으로는 독일 관념론의 대성자 헤겔이 있으며 영국에서는 산업 혁명이 시작되는 시기였다. 출생지 본은 라인 강 상류 서안의 문화 · 정치 · 종교 · 군사상의 중요 도시이며, 그의 생가는 오늘날도 베토벤(독일) 박물관으로 보존되어 있다. 아버지 요한은 궁정의 테너 가수로 일곱 명의 자녀가 있었지만 차남 루트비히와 3, 4남을 제외하고 일찍 죽었다. 두 동생은 술꾼에다 벌이가 없는 아버지와 함께 이윽고 베토벤(독일)에게 신세를 지게 된다. 처음에는 아버지와 그 친구들로부터 피아노를 중심으로 음악 교육을 받았는데, 아버지의 꿈은 아들을 모차르트(오스트리아)와 같은 천재 음악가로 만드는 일이었다. 그 때문에 루트비히의 나이를 속이게 한 적도 있었지만 타고 난 노력형인 그에게 신동적인 화려함은 기대할 수 없었다. 단지 1787년(17세) 빈 연주 여행에서 모차르트(오스트리아)를 방문했을 때 그의 장기인 즉흥 연주를 하여 주목을 받았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베토벤(독일)의 작곡 재능을 인정하고 본격적인 지도를 한 것은 궁정 오르가니스트 네페(Christian Gottlob Neefe, 1748~1798)였다. 그는 교육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돌봐 주었으며, 겨우 13세로 부궁정 오르가니스트의 지위를 주고 제2의 모차르트(오스트리아)로서 세상에 소개한 바 있다. 브로이닝(Breuning) 가의 사람들도 본 시대의 베토벤(독일)에게 있어 잊을 수 없는 존재였다. 그는 피아노 가정 교사로서 그 저택에 드나들고 있었는데, 장녀 엘레오노레(Eleonore)와의 사이에는 어렴풋한 연정도 싹트고 있었다. 정규 학력으로는 국민 학교를 중퇴했을 뿐인 베토벤(독일)에게 있어 브로이닝 가는 교양과 사교를 몸에 익히는 수행장이었다. 여기서 알게 된 귀족들 중 발트슈타인(Waldstein) 백작은 그 후 좋은 이해자로서 이 젊은 음악가에게 물심양면의 원조를 아끼지 않았다. 단기간이지만 청강생으로서 접한 본 대학의 피셀니히 교수도 또한 좋은 이해자였으며, 슈나이더 교수의 정열적인 강의는 청년 베토벤(독일)의 자유 사상을 크게 계몽하는 것이었다. 당시 유럽 음악의 중심은 역시 빈이었다. 모차르트(오스트리아)는 이미 죽었지만 하이든(오스트리아)은 건재했고, 정정(政情)은 불안했으나 음악을 좋아하는 귀족들의 재력과 취미는 전과 다름이 없었다. 본에 싫증을 낸 베토벤(독일)은 하이든(오스트리아)에의 정식 입문을 결심했다. 다행히 발트슈타인 백작의 주선으로 관비 유학의 소망이 이루어졌으며, 또한 백작의 소개로 리히노프스키(Lichnowsky) 후작의 살롱을 비롯한 빈의 사교계에 드나드는 편의도 주어졌다. 빈 유학은 이와 같은 유리한 조건으로 실현되었으나, 주위의 악풍은 아직도 보수적이어서 신참 청년 음악가가 인정받기에는 높은 벽이 있었다. 모처럼 사사한 하이든(오스트리아)도 바쁜 생활로 새 제자를 돌봐줄 수 없었으며, 오늘날에는 무명에 가까운 작곡가들에게 지도를 받게 되는 상황이었다. 그는 먼저 탁월한 피아노 연주로 빈 악계에 데뷔했고, 작곡도 당연히 피아노 음악에 중점이 놓였다. 1795년(25세) 최초의 공개 연주회에서 자작의 「피아노 협주곡 제2번」을 연주하여 대성공을 거두고 젊은 마이스터로서의 첫걸음을 내딛었다. 이 해부터 「교향곡 제1번」, 「피아노 협주곡 제3번」이 완성되는 1800년까지를 3기로 분류하는 그의 창작가의 제1기로 보는 것이 보통이다. 이 시기에는 「7중주곡」 Op.20, 6곡의 「현악 4중주곡(실내악곡)」 Op.18(모두 1800), 피아노 소나타 「비창」(1798) 등의 중요 작품이 작곡되었다. 어느 것이나 전통적인 경향을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도처에 보이는 창의는 이미 거장의 장래를 암시하고 있다. |
이전글 | 알리고 싶은 인물 조사 (1) |
---|---|
다음글 | 김득신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