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일부가 된 건축, 사람과 자연 이어줘”‘파격·혁신의 건축가’ 아브릴·페소·소피아 인터뷰
“도시에 자연을 끌어들이는 것이 현대의 트렌드가 되었지만, 우리는 건축이 자연의 일부가 되어 사람과 자연을 이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세계 건축계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실험적인 건축가로 손꼽히는 마우리시오 페소(칠레), 소피아 본 에릭하우센(아르헨티나 및 칠레)과 안톤 가르시아 아브릴(스페인)이 4일 서울신문 인터뷰에서 밝힌 건축 철학이다.
페소 교수는 배우자이자 파트너인 소피아와 함께 예술 및 건축 스튜디오인 ‘페소 본 에릭사우센’을 설립해 활동 중이다. 2009년 칠레 콘셉시온의 INES 혁신센터, 2015~17년 칠레 촌치의 로드 하우스, 2019년 이탈리아 밀라노의 에코 파빌리온, 2018~22년 칠레 융가이의 루나 하우스 등을 설계한, 칠레를 대표하는 건축가로 알려져 있다.
이들의 건축물은 절벽에 위치한 집, 숲속에 위치한 건물 등 이미 존재하는 공간의 맥락 속에서 건축과 자연의 조화를 유지하는 건축 철학을 표방한다.제4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에 출품한 페소와 소피아의 파빌리온은 삼각형, 사각형, 원으로만 구성된 공간에서 자연스레 흘러 들어오는 빛, 바람, 빗물을 온전히 받아들여 자연과의 조화를 충실히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두 교수와 함께 한국을 찾은 안톤 가르시아 아브릴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아내이자 동료 건축가인 데보라 메사와 함께 유명 건축 스튜디오인 앙상블 스튜디오를 이끌고 있다.
2007년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2010년 코스타 다 모르테, 2015년 미국 몬태나, 2019년 뉴욕, 2023년 매사추세츠, 마드리드 피에라리오 등에서 시간과 역사를 응축한 자재로 실험적인 건축을 소화해 세계 건축계의 화제를 모았다. 특히 스페인 메노르카의 버려졌던 칸테라 채석장을 주거 공간으로 탈바꿈한 일은 두고두고 회자된다. 그는 땅과 대지(大地)가 만들어낸 건축, 그 건축이 땅에 남긴 흔적을 연결하며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 건축가로 알려져 있다. 비엔날레 개막포럼에서 ‘지구의 건축’을 주제로 강연한 안톤 교수는 건축가가 지형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는 것은 낡은 사고이며 건축가가 사람과 자연을 조화시키는 데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지론을 소개했다.
페소와 소피아 교수는 “건축은 자연과 별개의 것이 아닌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라며 “자연에게 대화를 건다는 생각을 갖고 자연과의 유사성을 발견해 건물을 짓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아브릴 교수는 “건축은 자연이 갖는 힘이 형태를 만들어 가도록 하는 것이기에 물질이 자유롭게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건축이 갖고 있는 구속적인 조건에서 벗어나 자연스럽게 표현하면서 더 심층적으로 자연과 직접적인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엔날레 참가 외에도 홍익대 강연 및 유현준 교수와의 공개 대담 등 대중과의 접점을 늘리느라 바쁜 일정을 보내는 세 사람은 국내 최초 인문학 예술정원인 메덩골 정원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고 있다. 경기도 양평에 조성 중인 메덩골 정원은 자연과 건축, 사람들과의 관계를 새롭게 조망할 수 있는 색다른 개념의 인문학 예술 정원이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세 건축가는 해당 공간을 통해 한국과의 관계를 이어갈 수 있게 돼 기대감이 크다며 이 프로젝트는 건축이 자연의 일부가 돼 사람과 자연을 이어준다는 점에서 특별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메덩골 정원에는 페소와 소피아, 아브릴 교수가 설계한 건축물이 조성 중이며, 비엔날레에 전시된 페소와 소피아의 파빌리온 역시 전시 종료 후 메덩골 정원으로 옮겨질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