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년 7반

  • 선생님 :
  • 학생수 : 남 0명 / 여 0명

최선재 기자의 오늘의 이슈(2023년)

이름 최선재 등록일 23.03.26 조회수 58

평소에 관심이 있던 디지털 헬스 케어에 대한 기사를 올립니다.

디지털 헬스 케어란 의료와 건강에 관한 정보 기기, 시스템, 플랫폼의 개념을 포괄하는 의료 산업 분야를 말한다. 

즉 기존의 인간의 건강과 관련된 서비스와 진화한 의료 IT 기술이 합쳐진 종합 의료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 느낀 점 : 디지털 헬스 케어 기술은 인간의 감정을 판단하고 다룰 수 있는 인간의 영역 외의 새로운 방향으로 반드시 유익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기사를 읽으면서 인공 지능 시스템과 미래 의료 환경의 변화에 대해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네이버 사내 병원은 디지털 헬스케어 테스트 기지

 

인구 고령화와 만성 질환 급증 등으로 의료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의료진 업무를 대체 또는 보완하고 의료비를 절감하기 위한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도입 노력들이 잇따르고 있다.

네이버 사내 병원 측은 환자 특성에 따른 개별 맞춤형 치료를 하고 원격 의료나 가정 방문 의료 등 환자의 의료 접근성을 낮추고 있다고 전했다. 

대표적인 디지털 헬스 케어로 "스마트 서베이"가 있다. 이는 환자 병력을 자동으로 기입해 환자 입장에서는 병원 예약부터 방문, 사전 문진, 진료 , 의무 기록 관리까지 진료 전반의 과정을 디지털화 할 수 있어 편리하고 병원 입장에서는 자동으로 환자 증상에 대한 기록과 상병 추천이 이루어져 효율성을 갖게 되었다.

이렇게 헬스케어 분야에 디지털을 연계하면 폭발적인 성장이 가능해 정부 역시 디지털을 통해 완결성 있는 의료를 제공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한 만큼 앞으로 헬스 케어의 디지털 전환에 가속도가 붙을 예정이다.             

 

 

삼성 전자, 갤럭시워치 '헬스데이터'로 디지털 헬스 산업에 기여

 

삼성 전자는 자사의 스마트 워치에서 수집 되는 헬스 데이터를 활용해 헬스케어업계가 성장할 수 있도록 역할을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 측에서는 사람들이 스마트워치를 구매하는 가장 큰 이유는 '헬스'라며 갤럭시워치의 경우 워치에 탑재된 센서를 통해 심박수, 혈압, 수면 단계, 체성분, 산소포화도, 심전도 등을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심장 상태나 심장 이상이 있으면 알려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수면이나 심장 관련 기능들을 앞으로 더 확대할 수 있을지 연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출처:medi-gate news

이전글 이재홍 기자의 오늘의 이슈(2023학년도)
다음글 신대재 기자의 오늘의 이슈(2023학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