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3반

잘 놀고 즐겁게 공부하는 우리!!!

차이를 인정하고 함께 꿈꾸자!
  • 선생님 : 강재웅
  • 학생수 : 남 12명 / 여 11명

3조 5.18 광주민주화 운동

이름 천희우 등록일 23.03.15 조회수 29

                                                   5.18 광주 민주화 운동

 

 

1. 발생 배경 

     박정희가 살해된 10.26 사태 수습중 전두환 중심 신군부 세력이 부상. 

     군부의 재집권 야욕에 대한 국민적 저항은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표출. 

     계엄철폐를 요구하는 시위로 변화.

 

2. 전개 과정 

    1) 전남대학교 시위 

        휴교령이 내려질 경우 교문 앞에 집결한다는 결의에 따라 학생들은 전남대학교 앞에 모임.

         → 공수부대원들은 전남대 앞 시위를 저지하였지만, 대학생들은 광주역에 재집결.


    2) 시민들의 단결

        계엄군의 과잉 진압은 시위를 해산 시키는 데는 성공했으나, 오히려 시민들은 단결. 단순한 학생시위에서 시민봉기로 변화.

 

    3) 무력 항쟁

         21일 시민들은 아세아 자동차 공장에서 장갑차와 군용 차량을, 인근 지역에서는 무기를 탈취. 

         오후 3시 경 무기가 지급. 시민봉기가 무력 항쟁으로 변화.

 

     4) 마지막 저항

         27일 새벽 계엄군의 대대적인 무력 진압. 

          도청에 있던 시민군 전원 연행. 

          가택 수색으로 밤 10시 50분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자 전원 상무대로 연행. 

 

 

3. 결과

    항소심에서 전두환 무기징역, 벌금 2205억원 추징. 노태우 징역 15년, 벌금 2626억원 추징. 

    상고심에서 확정되었으나, 1997년 12월 22일 특별사면으로 석방.


4. 영향

    유네스코는 5.18 광주 민주 항쟁이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필리핀, 타이,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등지에서 일어난 

    여러 민주화 운동에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

 

 

                                                 



      

이전글 공공갈등 조정관
다음글 가정생활속에민주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