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적이고 책임감 있는 학급을 만들어 갑시다.
1. 대피 장소 및 경로 지정
□ 대피 장소
1차 지진 발생 시 | 1차 지진 파동 종료시 ~ 여진 발생 전 |
신체(머리) 보호 가능한 책상 밑 | 운동장/주변에 고층 건물이 없는 넓은 공터 |
□ 대피 경로
? 대피 장소 및 건물의 구조를 고려하여 층별.교실별 대피 순서(1반부터)와 경로를 설정.
?1, 2, 3학년 1, 2, 3반은 1반쪽 계단 이용, 1, 2, 3학년 4, 5반은 5반쪽 계단 이용
2. 경보 접수 및 전파
구분 | 주 수단 | 보조 수단 | 정전시 수단 | 비고 |
접수 (외부) | 재난위험경보 사이렌 | 유선 | 가두 방송 | 관할 지자체 |
전파 (교내) | 학교 내 방송 | 음성 방송, 타종, 호루라기 | 타종, 메가폰, 육성, 호루라기 | 방송실, 교무실 |
3. 대피 훈련 교육 준비 사항
?재난 경보 및 신호 방법 ?지진시 훈련 계획(대피 순서, 경로, 장소) | ?대피 절차 및 행동 요령 |
▣ 훈련(대피) 절차 및 행동 요령
① 재난 경보 접수 및 전파(상황반) ?각 학급의 전원 차단(교실) 및 출입문을 개방한다. ?교실 내 학생들은 책상 밑으로 들어가서 가방,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한다. ② 대피 지시(1차 지진 파동 종료시) ?대응 조직을 가동한다.(안내·유도반, 응급구조반) ?학급별 출입문 쪽 학생부터 순서대로 복도에 정렬한다. ?담임교사(교과담당교사) 통제하 순서에 의거 신속하게 정해진 대피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 다른 학급과 섞이지 않도록 대피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대피 - 대피시 앞사람(학급) 추월 금지, 침착, 질서 유지 - 방석이나 가방으로 머리를 보호 - 환자와 장애학생 안전 대피 우선 지원 ?층(구역)별 안내교사는 학생 대피 확인 후 마지막으로 대피 장소로 이동한다. ?응급구조반은 응급환자 발생시 지원 가능한 장소에 위치하여 구호 활동을 실시한다. ③ 대피 장소에 도착시 학생 인원 파악 및 라디오 방송 청취 ☞ 라디오 주파수는 참고 사항 참조 ④ 소방 및 응급 복구 활동(소화반, 응급구조반) ⑤ 피해 상황 파악 및 보고(상황반) ⑥ 대피 훈련 종료 후 안전에 유의하여 각 학급별 교실로 이동(안내·유도반) |
▣ 훈련 실시 후 후속 조치
? 대피 경로 선정의 적합성 검토 ? 지진 대피 훈련 절차와 행동 요령 적절성 검토 ? 대응 조직(상황반, 안내.유도반, 응급구조반, 소화반) 운용의 적절성 검토 ? 훈련 장비와 물자의 소요 검토 ? 도출된 문제점은 교직원 회의시 공유하여 차기 훈련에 반영 |
□ 재난 경보
경보 종류 | 신호 방법 |
재난경계경보 | 음성방송 |
재난위험경보 | 음성방송 + 사이렌(3분간 - 2초 상승 2초 하강) |
재난해제경보 | 음성방송 |
교시 | 월 | 화 | 수 | 목 | 금 |
---|---|---|---|---|---|
1 | 미술 | 영어 | 국어 | 체육 | 과학 |
2 | 영어 | 과학 | 수학 | 영어 | 도덕 |
3 | 정보 | 사회 | 생물 | 미술 | 국어 |
4 | 수학 | 진로 | 과학 | 음악 | 수학 |
5 | 기가 | 국어 | 체육 | 국어 | 진활 |
6 | 메이커 | 학스 | 체활 | 도덕 | 진활 |
7 | 독서 | 영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