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광여자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귀공주 체험수기방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이곳은 원광여고 귀공주들이 ‘나를 맑히고 세상을 밝히는 인성교육 유·무념 대조체크’를 통하여 자신의 생활이 변화된 내용을 기재하는 공간입니다.

1407 김민기
작성자 김민기 등록일 16.11.01 조회수 255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올라오면서 새롭게 접하게 된 것 중 하나가 "유 무념 대조 체크하기"이다. 처음에는 아침마다 하루 전날의 일과를 반성하면서 귀공주 노트에다 체크하는 것이 낯설고 어색하면서 반복되는 일의 의미를 잘 느끼지 못했었다. 하지만 하루, 이틀, 한달이 지나가면서 그냥 체크만 하기보다 "유 무념 대조 체크"를 잘 이용해서 나의 행동변화를 유도하자라는 생각이 점점 들기 시작했다. 매달 마지막에 수여하는 상품도 상품이지만 만약 아침 잠깐의 시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해서 내가 원하는 나의 모습을 갖추어가면 고등학교 3년 동안 중 가장 가치 있는 일이 되지 않을까라는 이유에서였다.

"유 무념 대조 체크"과정을 겪으면서 자연스레 일상생활에서 보완해야 할 부분을 의식함으로써 크지는않지만 조금씩 조금씩 변화해가는 나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내가 자신있는 '큰꿈 강한 의지 갖기', '서로 신뢰하며 함께하기', '배려 나눔 생활하기'등의 목록을 보면 더욱 동기부여가 되면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부족한 부분들을 보면 동그라미 두 개로 칸을 채워야겠다는 의지가 상승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 '충 효심 기르기'부분이 동그라미는 그려져 있지만 항상 완벽하지는 않다는 것을 느낄 때마다 "내가 생각한 것보다 실제로 부모님께 효를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면서 부모님께 죄송하고 나 스스로도 부끄러움을 자주 느꼈다. 방송으로 "부모님께 존댓말 쓰기"가 흘러나오는 것을 들을 때면 "내가 너무 부모님께 격식을 차리지 않나?"라고 느끼면서 어색하긴는 하지만 일주일에 몇 번씩 횟수를 정해 부모님이 어른이시라는 것을 인식하며 최소한의 격식을 차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는 반성도 자주 하게 되었다. 

 따로 스스로 목표를 정하는 칸이 내가 가장 신경쓰는 부분이다. 그 부분이야말로 스스로 부족하다고 느낀는 단점들을 장점으로 바꿀 수 있는 가장 유용한 칸이기 때문이다. 그 안을 한달동안 채우다보면 각 칸마다 계획은 세우지만 실천이 부족한 나의 모습이 그대로 드러나는 것 같아 스스로 자주 자책하게 된다. 고민끝에 '실천을 잘 하는 아이'가 되기 위해서는 가장 간단한 목표부터 지키는 것이 결국 최선책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고 이를 통해 "나 스스로 내가 할 수 있는 양을 알아가며 생활하는 것이 나에게 필수적이지 않나"라는 성찰의 시간도 가지게 되었다.

유무념 대조 체크 뿐만 아니라 매일같이 해야하는 가족공동 마음챙기기는 가족 간의 교루가 적어지는 사회에서 정말 좋은 해결방안인 것 같다. 비록 나는 기숙사생이기는 하지만 조금이라도 가족 간에 세운 목표를 실천하게 되면 더욱 의미가 있는 것 같아 보람을 느끼게 된다.

아직 나는 '유무념 대조체크'와 '가족 공동 마음 챙기기'를 완벽하게 수행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렇게 계속 꾸준히 매일같이 나 자신을 되돌아보는 반성의 시간을 가지면서 내가 원하는 나의 모습을 의식하다보면 고등학교 3년이 끝나있을 때 내가 바라는 이상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전글 1608 김은지
다음글 2218 빈고은 (은혜, 감사, 나눔 편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