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1
(학부모연수) 성평등문화 만들기
작성자 이지혜 등록일 23.08.22 조회수 28
첨부파일

[성평등 문화 만들기]

학부모님 가정에 건강과 평화가 깃들기를 기원합니다. 성평등한 문화 만들기에 대한 자료를 보내드리오니 가정에서도 귀 자녀께서 성평등한 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 부탁드립니다.

성평등 교육이란

첫째, 어느 특정한 성에 대하여 부정적인 감정 (여자가 나서는 것은 싫다) 이나 고정관념 내지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지 않는 것입니다.

둘째, 생물학적 차이를 사회 . 문화적 차이로 직결시키지 않는 태도입니다.

셋째, 성 모두에게 잠재되어있는 특성을 충분히 발현하여 자신의 자유 의지로 삶을 계획하고 세상을 볼 수 있도록 촉진하는 교육을 말합니다.

차이와 차별은 어떻게 다를까요?

<차이> 서로 같지 않고 다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차별> 각각 등급이나 차등을 두어 구별하고, 사회적 경제적 법적으로 불평등을 강요하며 피해를 주는 것을 말합니다.

성평등 어떻게 이루게 될까요?

- 상대적 평등이 필요합니다.

평등은 상대적 평등과 절대적 평등이 있습니다. 절대적 평등이란 누구든지 무조건 똑같이 대하는 것이지만 상대적 평등은 차별적으로 대우해야 하는 평등입니다. 예를 들어, 여자는 아기를 낳게 되는데, 어느 정도 기르는 동안 직장에 나가지 못하게 되어 사회생활에 지장을 받게되는 반면, 남자는 그런 일이 생기지 않습니다. 그래서 여성이 사회에 진출할수록 아이를 낳지 않는 경우가 생기고, 저출산을 초래하는 요인이 돼 이 경우 여자가 아이를 낳는 일로 인하여 받게 되는 불이익을 최소화하는 것이 평등한 것입니다. 즉 아이를 낳으면 출산 휴가를 받을 수 있고, 육아 휴직도 줘야 해. 특히 아이를 낳은 후에도 계속해서 직장에 다닐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겠습니다.

- 여성을 위한 제도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요즘은 직장에 들어갈 때 겉으로는 차별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아직까지도 알게 모르게 여성이 차별을 받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같은 조건이면 남자를 뽑는 경우도 있고, 남자에게는 승진의 기회도 더 주어지지요. 또한 직장에서 구조조정을 할 때에도 여성이 직장을 그만 두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여성의 권익을 지켜줄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사회적으로 동등한 일을 하고, 같은 기회가 주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를 기르는 것과 집안일에 대한 여성의 부담이 크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우리의 생각을 바꿔야 합니다.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여자니까 또는 남자니까 하는 생각을 아직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생각이 바뀌어야 비로소 진정한 성평등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남자는 쉽게 울면 안 된다, 여자는 남자를 잘 만나야 한다는 등의 고정관념을 버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요즘은 옛날보다 많이 바뀌어서 남자도 간호사가 될 수 있고, 아내가 남편보다 월급을 더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남성과 여성을 구분 짓는 편견을 없애는 것이 성평등을 이룰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으로 스스로부터 남성과 여성에 대한 편견을 없애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함께 생각해 봅니다

- 광고 속에서의 성 불평등

굳이 여자가 등장하지 않아도 되는 상품 선전에 야한 옷차림의 여자를 등장시킵니다. 그것은 우리들에게여자는 성적 매력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무의식적으로 가지게 합니다. 문제가 있는 몇몇 광고의 문안을 살펴봅시다.
"누구든 나를 바보 같다고 해요, 또 여우같다고도 하지요. 하지만 제가 원하는 건 사랑 받는 여자예요"
"커피와 여자는 부드러워야 하는 것 아니에요?""보여 줄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보여 드리고 싶습니다"
여자는 어떻게 하면 자기 삶의 주인이 되어 살아갈 수 있는가 하는 데에 관심을 갖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남성에게 잘 보이고 남성에게 사랑받는 것이 여자의 길이요, 가장 큰 행복이라는 생각을 갖도록 만드는 차별적인 광고 문안입니다.
이에 비해 남성들은 어떻게 그려지는지 살펴봅시다.
"지금 그 남자의 지배가 시작된다", "남자는 힘" "남자에게는 자기만의 길이 있다. 자기의 길을 아는 남자", "성취, 열정, 감동 그리고 VIP, 성취를 향한 남자의 열정"
우리는 대중매체가 제시하는 이런 남녀의 성에 따른 대비를 통해 하나의 결론을 얻어내게 됩니다. 경제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나약한 여성이 자신의 생존을 위해서는 남성의 사랑과 보호가 필요하며, 결국 안전하게 보호받는 길은 그의 사랑을 얻어내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핸드폰과 여성의 다리는 무슨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접으면 아름다움이 보인다'라는 말도 여성의 다리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이는 명백히 여성의 몸을 이용해 눈을 끌고 보고자 한 광고입니다.


- 가족에서 나타난 성 불평등
많은 부모들이 전통적인 성역할에 따라 자녀를 양육하는데, 딸에게는 주로 어머니의 일을 시키고 아들에게는 주로 아버지의 일을 시킵니다. 그리고 자녀가 자신의 성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행동을 하면 적극적으로 보상하고 권장하며, 그렇지 않은 행동을 하면 탐탁지 않게 여기거나 벌을 내리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아들에게 자율성과 성취, 경쟁, 감정 통제를 더욱 강화하고 딸에게는 의존성이나 다소곳한 태도, 타인에 대한 배려를 더 많이 강화하는데, 보통 딸보다는 아들에게 이와 같은 사회화의 압력을 더 많이 행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3. 08. 22.

완 주 고 등 학 교 장 (직인생략)

이전글 2학기 온라인 보충과정(미이수·미개설) 안내
다음글 2023년 9월 전북교육아카데미 신청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