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1
청소년 생명존중 및 자살예방교육
작성자 이지혜 등록일 21.03.26 조회수 94
첨부파일

청소년 생명존중 및 자살예방에 관한 학부모안내 자료입니다.

 

1. 자녀와 적극적으로 대화하기

평범한 아이라도 스트레스를 받거나 극심한 외로움을 느낀다면 자살을 생각할 수 있다.()

자살을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자살을 부추기는 행위이다? ()

자녀들이 부모에게 어려움을 이야기하기 꺼려하는 이유는 혼날까봐혹은 부모님에게 이해받지 못할 것 같은두려움이 가장 크다고 합니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를 판단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자녀의 말에 공감해주며 도움을 주고 싶다는 부분을 분명하게 표현해야 합니다. 특히 자살생각을 가진 자녀에게 자살생각 여부를 직접 물어보는 것은 자녀에게 이제부터 자살에 대해 함께 대화할 수 있을 만큼 부모가 준비되어 있고 이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적극적인 대화가 필요합니다.

2. 누구에게도 안전지대는 없다, 아닐 거라고 안심하기 전에 자녀를 살펴보자

자녀의 자살 행동에는 분명한 자살 동기가 있습니다. 행동, 언어, 기타 신호를 반드시 보냅니다. 자살하려는 경우에는 삶의 의지가 있기에 외부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입니다.

괜찮겠지’, ‘설마라는 생각을 하며 안심하기 보다는 자살의 위험이 의심될 때 전문가를 찾아가 적절한 평가를 받고 적절한 도움을 받는 것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3. 이런 언행은 삼가!

우리 아이가 이러는 것은 다 나 때문이야’(자책하기), ‘그럴꺼면 차라리 진짜 죽어!’(분노하기) ‘네가 원하는 것 뭐든지 다 사줄게’(지키기 어려운 약속하기), ‘네 나이 때에는 다 그럴 수 있어’, ‘별거 아냐’(무시하고 안심하기), ‘쓸데없는 생각하지 말고 네 할 일이나 잘해’(비아냥거리기)

위의 태도들은 부모님도 자녀의 자살행동을 두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나타날 수 있는 정상적인 반응이기는 하나. 이를 억제하고 최대한 차분하게 자녀에게 다가가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4. 주변사람의 자살에 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

청소년의 자살은 전염력이 강하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녀가 자살사건과 관련된 유언비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자녀가 주변사람의 자살에 대해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대화를 통해 파악하도록 합니다.

어려운 상황을 공감하되 자살이 일반적인 문제해결방안이 아닌 , 잘못된 방법임을 설명합 니다.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의 경우, 질병으로 인한 과정임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감기에 걸려면 열이 나고, 암에 걸리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것처럼, 우울증이 심하면 자 살로 사망할 수 있음을 알려주고 심한 우울증은 반드시 치료받아야 됨을 설명해 줍니다.

전화상담센터

위기상황시 24시간 상담 가능합니다.

자살위기 상화에서의 대처방법에 대해 문의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살예방센터 및 정신보건센터 : 1577-0199

한국청소년상담원 : 1388

사랑의 전화 : 1566-2525

한국생명의 전화 : 1588-9191

희망터치 : www.keepintouch.co.kr :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

 

이전글 2021학년도 1학년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실시 안내
다음글 완주고 학교 규칙 일부 개정(안) 의견수렴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