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서천초등학교 로고이미지

부모교육게시판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9-4 자연스럽게 겸손을 익혀요
작성자 김미영 등록일 23.10.13 조회수 40

자연스럽게 겸손을 익혀요

- 어떻게 할까요?

 

1.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귀담아 듣도록 해주세요.
겸손은 하고 싶은 이야기와 듣고 싶은 것만 듣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들을 때 시작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평소에 아이들의 말을 잘 들어주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아이들도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잘 들을 수 있습니다.

 

2. 부족함을 인정하고 노력하는 아이가 되도록 해주세요.
자신이 갖고 있지 못한 것에 대한 부족함을 인정하고 노력할 때 진정으로 겸손해집니다. 부족하거나 실수한 부분을 인정하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는 부모의 아이들은 부족함이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 노력해야 하는 것 임을 인정하게 됩니다. 이러한 아이들은 상대방의 부족함을 채워주는 겸손한 모습으로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어 갈 것입니다.

 


- 이렇게 해보세요.

 

1. 다양한 경험을 해보세요.
주변사람들과 힘을 모아 일을 할 수 있는 일들을 경험을 해보세요. 아이 혼자의 힘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친구나 가족,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해보는 경험을 통해 주변 사람 덕분에 문제가 해결되고, 그 공을 다른 사람들에게 돌리는 ‘겸양지덕’의 태도를 배울 수 있답니다.

 

2. 잘난 척을 자신감으로 이끌어주세요.
잘난 척과 우월감을 느끼게 된 경험을 함께 찾아보세요. 어떤 상황에서 그런 기분이 들게 되었고,  어떤 점이 좋았는지 함께 이야기 나누어보세요. 그리고 그 마음을 잘난 척으로 표현할 경우 다른 사람들의 기분은 어떨지 생각하고,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아이가 다른 사람들 앞에서 우월감을 표현하기보다는 그것을 자신의 장점으로 생각하고 자신감있게 행동하는 방향으로 안내해주세요. 

 

3. 칭찬은 때와 장소에 따라 적절히 해주세요.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이 있듯이 자신감이 없고, 위축된 아이들에게 부모님의 칭찬만큼 좋은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과한 칭찬은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합니다. 예를 들어 그림을 그릴 때, 무조건 ‘잘 그렸구나’라는 말보다는 ‘나비의 날개를 멋지게 그렸구나’와 같은 구체적인 칭찬이 효과적입니다.

 

4. 흔들리지 않는 기준을 세워주세요.
우리 아이들의 모습이 모두 예쁘고, 칭찬해주고 싶은 것이 부모님의 마음이지만 아이들에게는 흔들리지 않는 규칙(기준)이 필요합니다. 칭찬할 때는 사랑스럽게, 훈육할 때는 확실하게 지도해야 합니다. 부모님의 기분에 따라 그때그때 다르게 대하면 아이들은 혼란스러워집니다. 확실한 기준을 세워주셨을 때,  부모님에 대한 신뢰가 생깁니다.

 

5. 주변 사람을 칭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자신의 좋은 점을 알고 자신감을 갖는 것도 중요하지만 함께 생활하는 주변 사람들의 좋은 점을 알고 받아들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다른 사람들의 좋은 점을 인정하고, 칭찬해보는 시간을 통해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마음으로 나 자신에게 겸손한 아이가 될 수 있습니다.

 

이전글 10-1 가을맞이 환절기 건강관리
다음글 9-3 언어발달에 도움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