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서천초등학교 로고이미지

부모교육게시판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6-1 행복한 가정을 위한 효과적인 대화법(1)
작성자 성효정 등록일 20.06.05 조회수 68

행복한 가정을 위한 효과적인 대화법(1)

자녀와의 대화에서 부모가 잘못 이해 할 수 있는 것

 

1. 대화를 통해 아이가 갖는 나쁘거나 어리석은 생각, 감정들을 바로 잡아준다?

생각과 감정은 우리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자연히

떠오르는 것이므로 어떠한 것이든 인정해 주어야 합니다. 단 이를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을 제한 해야 합니다. 부모가 아이의 생각과 감정의 옳고 그름을

지적하기 시작하면 아이는 말 문을 닫을 수 있습니다.

) 동생이 미워요. 없어졌으면 좋겠어.

· 잘못된 부모의 반응 : 어떻게 그런 나쁜 생각을 할 수 있니?

· 적절한 부모 반응 : 동생이 죽었으면 할 정도로 밉구나! 그런데 동생이 그 말

들으면 기분이 어떨까?

 

2. 대화를 통해 아이의 유치원 생활, 친구 모든 것을 다 알아야한다?

아이도 커 갈수록 사소한 것일지라도 자기만의 비밀을 갖고 싶어 합니다. 모든

것을 알고 싶어 하는 부모의 태도는 지나친 질문으로 이이질 수 있고 이는 아이

에게 심문 당하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3. 아이의 질문에 응답해주고 대화를 위해서는 많은 것을 알아야한다?

유아기부터는 질문이 많아집니다. 이러한 질문에 부모로서의 권위를 잃지 않고

답해 주기위해서는 많은 것을 알고 있어야한다는 부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들은 부모와의 대화에서 전문적 지식, 조언, 충고를 원하는 것이 아닙니다. 더 중요한 것은 부모의 눈빛, 끄덕거림, 공감해 주는 표정, 주의 기울이는 태도등

아이로 하여금 부모가 자신의 말을 진지하게 듣고 이해해 주려함을 느끼게 해야

합니다.

 

4. 대화는 항상 진지해야한다?

대화는 꼭 진지하고 심각해야 되는 것 아닙니다. 대화 시 부모의 유머는 아이가

대화 를 더 하고 싶게 만드는 큰 활력소가 됩니다.

 

5. 대화는 말이다?

직접 주고받는 대화가 아니라도 메모, 사진, 편지는 훌륭한 의사소통 구실 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냉장고에 붙여놓는 간단한 메모, 사진 등에 의해 마음이 더 쉽게 움직여 질수도 있습니다.

이전글 6-2 행복한 가정을 위한 효과적인 대화법 2
다음글 5-5 개정누리과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