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오송초등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독서동아리 12월 - 행복은 어디에나 있어
작성자 *** 등록일 23.12.29 조회수 95
첨부파일

[ 학부모독서동아리 202312월 모임 ] 

 

일시 : 20231228일 목요일

장소 : 오송초 교장실

도서 : 행복은 어디에나 있어

길라잡이 : 황성진 교장선생님

참석자 : 국유미, 김미란, 김유정, 이애영, 정지은, 최민영

 

-책소개

행복은 어디에나 있어(저자:브루스 핸디 그림:염혜원 번역:공경희 출판:주니어RHK)

32473885678.20230313184659

 

볼로냐 라가치상 · 에즈라 잭키츠상 · 샬롯 졸로토상 수상 작가 염혜원 신작

우리 곁에서 빛나는 작지만 소중한 행복의 순간들

 

행복은 어디에나 있어는 볼로냐 라가치상, 에즈라 잭 키츠상, 샬롯 졸로토상, 미국 아시아·태평양 도서관 사서 협회 선정 문학상 등 유수의 그림책상을 수상한 작가 염혜원의 그림과 오랜 시간 타임, 에스콰이어편집자이자 저널리스트로 활동한 작가 브루스 핸디의 문장으로 '행복'을 이야기하는 그림책이다. 우리가 소소한 일상에서 느끼고 경험하는 다양한 감정과 행복의 순간을 시적이고 위트가 번뜩이는 짧은 문장, 사랑스러운 어린이들의 모습과 색으로 포착해 냈다. 여기에 더해 한국어판에는 원문의 미덕을 잘 살리기 위한 번역가 공경희의 고민의 시간과 말맛을 살린 문장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뉴욕타임스는 이 책을 특히 요즘 시대에 어울리는 사랑받을 작품이라고 평하며 ‘2021 올해의 그림책중 하나로 선정했으며, 퍼블리셔스 위클리는 매력적인 그림과 독창적인 은유를 통해 독자에게 추상적인 개념을 효과적으로 전달한 그림책에 주는 하이 콘셉트 그림책으로 선정했다. 펜데믹 상황으로 모두가 지치고 무기력해진 때에 행복은 어디에나 있어는 우리의 현재는 작은 것만으로 충분하다고, 행복은 우리 곁 어디에나 있다고 위로하고 격려하며 어린이와 어른 모두에게 더없이 행복한 선물이 되어 줄 것이다.

(출처 : 교보문고)

1. 그림책 제목, 행복은 어디에나 있어'를 재해석 해 봅시다.

소소한 행복, 작은 행복의 반복

일상이 감사, 마음먹기 나름

마주하는 현실 속에서 보물찾기

행복은 어떻게 생각하는가야

감사는 어디에나 있어, 함께하는 것이 곧 행복

하루 일상의 당연한 작은행복

슬픔이나 고난을 극복하는 것이 행복

-참고도서

뇌를 알면 행복이 보인다(뇌교육자와 뇌과학자의 두뇌이야기)

저자:이승헌(일지출판:브레인월드 

32443139962.20221019150940 

우리는 어떻게 행복해질 수 있는가? 뇌와 만나고 뇌와 대화하라!

뇌가 연구자의 실험실을 벗어나 시대의 변화를 예고하는 코드로 떠오르고 있다. 21세기를 앞두고 뇌과학 분야에 정부의 연구비가 집중 투자되면서 출판에서도 뇌과학자나 심리학자, 또는 과학저널리스트가 쓴 책들이 꾸준히 출간되고 있다. 물론 이 책들의 대부분은 번역서이다. 뇌 관련 도서 중 국내 저자의 책은 아직 한 손으로 꼽을 정도이다.

이 같은 현실에 모처럼 국내 뇌 전문가가 공저한 뇌 관련 책이 출간되었다. 뇌교육자 이승헌 원장과 뇌과학자 신희섭 박사의 두뇌 이야기가 그것이다. 뇌호흡을 창안하고 세계화한 이승헌 원장과 우리나라 뇌과학계에서 가장 선도적 위치에 있는 신희섭 박사가 함께 쓴 이 책은 뇌를 주제로 이들의 서로 다른 접근같은 이해의 과정을 흥미롭게 펼쳐 보인다.

뇌과학의 입장에서는 모든 것이 뇌의 기능이다. 따라서 뇌의 작용 원리를 밝히는 것이 뇌과학에서는 가장 중요한 일이다. 이에 비해 뇌교육은 뇌를 어떻게 쓸 것인가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뇌에 관해 과학이 밝혀낸 사실을 활용하되 뇌과학이 다 밝히지 못한다 해도 뇌를 활용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뇌를 어떻게 쓰느냐, 즉 뇌를 움직이는 정보를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개인은 물론 우리 모두의 미래가 달렸다는 뇌교육의 관점은 학술 정보 중심으로 구성된 다른 뇌 관련 책들과 뚜렷이 구별되는 대표적 특성이다.

두 저자는 뇌의 고등감각인지(HSP, Heightened Sensory Perception) 기능을 함께 연구하는 공동연구자로서, 그리고 생활 속에서 명상을 실천하고 알리는 명상가로서 교류하며 뇌에 관해 논의해 왔다. 그간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엮은 이 책은 뇌와 몸의 관계, 뇌와 마음의 작용에 대해 뇌과학적 해설과 뇌교육적 해법을 적극적으로 제시한다.

뇌와 뇌가 만나 나비 형상을 이루는 책의 표지 그림처럼, 많은 이들이 자신을 성찰하는 또 하나의 코드로서 뇌를 발견하고 행복하게 날아오르기를 바라는 두 저자의 일치된 희망이 이 책을 탄생시켰다. 는 뇌를 통해 희망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출처 : 교보문고)

2. 행복,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 (도서: "뇌를 알면 행복이 보인다")

태어나서 살아가며 얻는 정보:

- 부모로부터 받은 DNA 속에 담긴 유전정보

- 태어나서부터 책교육다양한 대중매체, 지식정보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얻는 체험정보

원시정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근원적인 정보,

-우리의 양심이 본래부터 지향하고 있는 곳

-기억정보와 체험정보가 아닌 '만물의 영장인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정보

-의지의 불을 밝히면 '원시정보' 발현된다! (103)

3. 행복습관

우리가 어떤 생각을 하고 행동하는 방식은 대부분 '습관적'으로 이루어진다. 반복 생각과 행동이 뇌회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뇌회로가 만들어지면 그 길로 들어오는 정보는 자동으로 처리가 된다. 그래서 습관을 바꾸기란 어려운 것이다. 습관을 바꾸는 방법은 뇌회로를 폐쇄하거나 새로운 회로를 만드는 것이다. 꾸준히 행복이라는 정보를 뇌에 주는 것이 행복습관을 만든다. 자신의 의지로 행복습관을 만드는 사람이 성공적인 삶을 사는 것이다.

4. 나의 행복은?

자율성 : 내가 하는 싶은 것을 선택

연결성 : 내가 가진 것을 누군가와 함께 하고 싶은 것

유능성 : 내가 나를 인정하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인정받는 것

 

KakaoTalk_20231229_165308272_02KakaoTalk_20231229_165308272_01

 

이전글 생태환경동아리 5월 모임
다음글 독서동아리 11월 - 내 마음이 궁금해 : 감정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