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리남성여자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공지사항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학교 홈페이지 회원 가입 안내(필독)★
자녀사랑하기 1호 - 자녀의 변화에 주의 기울이기
작성자 송호영 등록일 18.03.05 조회수 194
첨부파일
 

교육부는 2018년에도 자녀 사랑하기뉴스레터를 가정으로 보내드립니다. 이는 우리 아이들이 자신의 삶을 사랑하고 생명을 존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고 부모가 자녀를 이해하고 도와줄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것입니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 청소년 사망 원인의 1위가 자살이며 최근 2년째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8년도 첫 번째 뉴스레터에서는 자녀들이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할 때 보이는 언어, 행동, 정서표현의 신호가 무엇인지, 가정에서 이러한 자녀를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에 대한 내용을 담아보았습니다.

 

                     (출처: 교육부 자살 사안 보고서 2014-2016, 중고등학생 자살률(%))


식사와 수면 습관이 변합니다. 식사를 잘 하지 못하거나 잠을 잘 자지 못합니다.

짜증이 늘어나고 침울하고 우울하게 보입니다.

반항적이고 공격적인 태도와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두통, 복통, 소화불량 등 신체 증상을 호소합니다.

일기장이나 SNS에 죽고 싶다는 표현을 하기도 합니다.

지각이나 등교 거부를 합니다.

사람들과 만나기를 거부하고 혼자 있고 싶어 합니다.

집에서 대화를 거부하고 무기력하게 누워만 있을 수 있습니다.

사후 세계를 동경하거나 자살한 사람들에 관련한 이야기를 합니다.

자기 비하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갑자기 물건을 많이 사거나 평소 하지 않던 쾌락적인 일들을 하기도 합니다.

자기 주변을 정리하고 평소 아끼던 소유물을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어 줍니다.

스스로 신체에 상처를 입히는 위험한 행동을 보입니다.

방에 혼자 있으려고 하면서 인터넷 검색을 자주 합니다.

 

  자녀가 위와 같은 위험 징후를 보일 때 도와줄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요새 표정이 어두워 보이는구나. 혹시 무슨 일 있니?”

너무 힘들 때는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는데...혹시 그런 생각이 든 적 있니?”

네가 죽고 싶다고 써 놓은 메모를 봤어. 엄마(아빠)는 너무 걱정이 되는구나.”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질문이 자살의 위험을 높이지는 않습니다.

언제부터,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됐는지 물어보세요.

혹시 구체적인 계획이 있는지, 어떤 방법으로 하려고 했는지, 죽음에 필요한 도구를
준비하거나 장소를 물색하거나 죽으려는 행동을 시도한 적이 있는지 물어보세요.

어떻게 그런 생각을 할 수가 있어?”(X)

힘들면 다 그런 생각 한 번쯤 해. 별거 아니야.”(X)

그건 나쁜 생각이야.”(X)

그랬구나. 그것이 그렇게 힘들었구나.”(O)

엄마(아빠)에게 솔직하게 말해줘서 고마워.”

엄마(아빠)가 널 어떻게 도우면 좋을까?”

그런 일이 있어서 네가 죽고 싶은 생각까지 들었던 거구나. 그 일을 엄마(아빠)
도와줄 테니 함께 해결해 보자.”

만일 어느 시점에서 자살을 감행하려는 전조나 불안한 기운이 느껴지거나 아이를 이해할 수 없을 때에는, 주저하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요청합니다.

특히 이전에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는 아이가 다시 자살 생각을 하고 있는 경우, 혹은 자살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있거나 시도한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세요.

201835 이리남성여자고등학교장

이전글 2018년 3월 급식비 안내문
다음글 2018학년도 2,3학년 1/4분기 수업료 및 학교운영지원비 납부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