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50호 [문화다양성]다른 나라 사람들은 어떻게 인사할까 |
|||||
---|---|---|---|---|---|
작성자 | 진안마이꿈유치원 | 등록일 | 20.07.17 | 조회수 | 63 |
첨부파일 |
|
||||
아프리카에서 사람을 만났을 때 상대방이 얼굴에 침을 뱉는다면 우리는 어떻게 할까요? 아마 대부분의 사람은 멱살을 잡고 싸울 것입니다. 하지만 노여워할 필요없어요. 왜냐하면 그 사람은 아프리카 마사이 부족의 한 사람일수 있으니까요. 마사이 부족 사람들은 반가움의 표시로 얼굴에 침을 뱉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굉장히 불쾌한 일이지만 그들에게는 그것이 인사의 한 방법이지요. 사람을 만났을 때 인사하는 방법은 나라와 문화마다 다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허리를 숙여서 ‘예’를 표현하지만 서양에서는 악수나 포옹, 볼 키스 등이 일반적입니다. 악수는 나라와 문화를 불문하고 현대 사회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인사로 상대방 손을 적당한 힘으로 잡은 뒤 두 세 번 가볍게 흔드는데, 이때 서로의 눈을 쳐다보며 웃는 얼굴로 인사말을 건넨다면 더욱 좋습니다.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은 손님을 환영할 때 서로 코를 두 번씩 비비는 코인사를 하는데 지금도 로토루아에 위치한 마오리 민속촌을 방문하면 방문객들을 제일 먼저 이 인사로 반긴다고 합니다. 태국의 전통인사는 두 손을 모으고 팔과 팔꿈치를 몸에 붙인 채 ‘와이’라고 말하면서 고개를 숙입니다. 이때 합장한 손이 위로 올라갈수록 공경의 정도가 커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브라조는 콜롬비아나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 나라에서 주로 하는 인사로 서로 껴안고 키스를 한 후 친근함의 표시로 어깨를 몇 번 두드리는 인사이고,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과 다른 지중해 연안의 나라에서는 주로 양쪽 뺨에 키스를 합니다. 하지만 연인 사이가 아니라면 소리만 내고 실제 키스는 하지 않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악수를 한 후 양쪽 뺨에 키스를 하고, 러시아에서는 키스를 하고 포옹을 한다. 인도인들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힌두교도들의 인사는 ‘나마스테’입니다. ‘나마스테’라는 말은 산스크리트어로 ‘당신 앞에 절을 합니다’라는 뜻으로 존경의 표시고, 조금 더 공손한 표현을 쓰고자 한다면 ‘나마스카’라는 존칭을 하기도 합니다. 두 손을 공손하게 가지런히 모으며 하는 인사법으로 한국에서의 불교도들의 인사와 비슷합니다. 인도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소수파 무슬림신자들은 나마스테 인사법과는 다르게 오른손을 자신의 왼쪽 가슴에 대면서 ‘아 살람 알레이쿰’이라고 하는 이것은 이슬람교 신자들의 보통 인사법입니다. 아무리 마음이 충만하다 하더라도 그것을 표현하는 방법이 잘못되거나 그의미를 모른다면 호의는 반감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 나라의 문화를 반영하는 인사법을 알고 ‘예’의 마음을 표현한다면 다문화사회에 글로벌 인재가 되는 훌륭한 접근이 될 것입니다. |
이전글 | 2020-52호 [생활안전]물놀이 할 때 주의해야 할 질병 및 예방법 |
---|---|
다음글 | 2020-49호 [인성교육]사랑 많은 아이로 키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