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마이꿈유치원 로고이미지

부모교육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020-50호 [문화다양성]다른 나라 사람들은 어떻게 인사할까
작성자 진안마이꿈유치원 등록일 20.07.17 조회수 63
첨부파일

 

아프리카에서 사람을 만났을 때 상대방이 얼굴에 침을 뱉는다면 우리는 어떻게 할까요? 아마 대부분의 사람은 멱살을 잡고 싸울 것입니다. 하지만 노여워할 필요없어요. 왜냐하면 그 사람은 아프리카 마사이 부족의 한 사람일수 있으니까요.

마사이 부족 사람들은 반가움의 표시로 얼굴에 침을 뱉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굉장히 불쾌한 일이지만 그들에게는 그것이 인사의 한 방법이지요. 사람을 만났을 때 인사하는 방법은 나라와 문화마다 다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허리를 숙여서 를 표현하지만 서양에서는 악수나 포옹, 볼 키스 등이 일반적입니다. 악수는 나라와 문화를 불문하고 현대 사회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인사로 상대방 손을 적당한 힘으로 잡은 뒤 두 세 번 가볍게 흔드는데, 이때 서로의 눈을 쳐다보며 웃는 얼굴로 인사말을 건넨다면 더욱 좋습니다.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은 손님을 환영할 때 서로 코를 두 번씩 비비는 코인사를 하는데 지금도 로토루아에 위치한 마오리 민속촌을 방문하면 방문객들을 제일 먼저 이 인사로 반긴다고 합니다.

태국의 전통인사는 두 손을 모으고 팔과 팔꿈치를 몸에 붙인 채 와이라고 말하면서 고개를 숙입니다. 이때 합장한 손이 위로 올라갈수록 공경의 정도가 커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브라조는 콜롬비아나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 나라에서 주로 하는 인사로 서로 껴안고 키스를 한 후 친근함의 표시로 어깨를 몇 번 두드리는 인사이고,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과 다른 지중해 연안의 나라에서는 주로 양쪽 뺨에 키스를 합니다. 하지만 연인 사이가 아니라면 소리만 내고 실제 키스는 하지 않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악수를 한 후 양쪽 뺨에 키스를 하고, 러시아에서는 키스를 하고 포옹을 한다.

인도인들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힌두교도들의 인사는 나마스테입니다. ‘나마스테라는 말은 산스크리트어로 당신 앞에 절을 합니다라는 뜻으로 존경의 표시고, 조금 더 공손한 표현을 쓰고자 한다면 나마스카라는 존칭을 하기도 합니다. 두 손을 공손하게 가지런히 모으며 하는 인사법으로 한국에서의 불교도들의 인사와 비슷합니다.

인도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소수파 무슬림신자들은 나마스테 인사법과는 다르게 오른손을 자신의 왼쪽 가슴에 대면서 아 살람 알레이쿰이라고 하는 이것은 이슬람교 신자들의 보통 인사법입니다.

아무리 마음이 충만하다 하더라도 그것을 표현하는 방법이 잘못되거나 그의미를 모른다면 호의는 반감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 나라의 문화를 반영하는 인사법을 알고 의 마음을 표현한다면 다문화사회에 글로벌 인재가 되는 훌륭한 접근이 될 것입니다.

이전글 2020-52호 [생활안전]물놀이 할 때 주의해야 할 질병 및 예방법
다음글 2020-49호 [인성교육]사랑 많은 아이로 키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