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동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학부모 대상 성폭력예방교육 가정통신문
작성자 고명희 등록일 25.10.27 조회수 51
첨부파일

안녕하십니까?

청소년들은 정직하고 성실한 삶을 사는 성인을 통해서, 가정에서 부모의 원만한 인간관계 속에서 자연스럽게 밝은 성을 배우게 되니 가장 훌륭한 모델은 부모님이라 생각하시고 밝고 건전한 성의식이 자녀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도록 힘써주시길 바랍니다.

1. 아동·청소년 성폭력이란

아동·청소년에 가해지는 성폭력으로 19세 미만의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강간, 추행 등을 의미

2. 처벌규정

*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7~ 10에 의해 엄중처벌

* 특히,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 7에 의해 피해자가 13세 미만인 경우 피해자 의 동의가 있었어도 강간, 강제추행 등 처벌 가능

3. 아동·청소년들의 성폭력 피해 노출

출생 후 현재까지 성폭력 패해율

유경험 41%

무경험 59%

- 여학생 2명 중 1(44.5%), 남학생 3명중 1(31.4%)

- 음란전화 및 문자 (30.7%), 가벼운 성추행 (10.7%), 성희롱 (9%), 심한 성추행 (2.4%)

음란물 노출 (2.4%), 강간 미수 (1%), 강간 (0.9%)

4. 성폭력 피해를 입은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심리적 안정 : 자녀의 책임이나 잘못이 아님을 알리고 안정시킨다.

즉각적인 신고 : 가해자를 신고하여 반드시 처벌받도록 한다.

(법적인 처벌을 통해 가해자와 다른 사람에게 성폭력은 심각한 범죄이며, 가해자는 반드시 처벌 받는다는 사실을 인식시킨다.)

2차 피해 예방 : 전문기관을 통해 적극적인 보호와 지원을 받는다.

학교 등에 연락하여 긴밀한 협력, 지원, 배려 등을 요청한다.

가능하면 빨리 112, 1366에 신고하고 원스톱지원센타, 해바라기여성·아동센타에 가서 진료를 받는다.

<뒷면계속>

5. 올바른 자녀 성교육 및 성폭력 예방지도

- 아동·청소년에게 성폭력에 대한 정확하고 연령에 맞는 사전 정보제공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성폭 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먼저 인식하고 자녀와 편안한 분위기에서 자연스럽게 이야기 할 수 있 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좋은 접촉, 나쁜 접촉 : 건강하고 모범적인 경계를 미리 알려 준다.

일상생활에서 “No” 라고 말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자녀의 “No”를 인정해 준다.

아동·청소년은 보호 받아야 하는 존재이며, 책임은 가해자에게 있음을 항상 주지한다.

아동·청소년이 자녀의 이야기를 잘 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든다.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활동

좋은 느낌, 싫은 느낌 말해보기

부모와 자녀간에

비밀 공유하기

몸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방법 익히기

인터넷, 스마트폰 등 유해사이트에 대해 이야기 하기

자녀의 이동경로 살펴보고 어떤 경로가 안전한지 함께 생각하기

아동·청소년용 성폭력예방교재 함께 읽기

보호자 스스로 할 수 있는 활동

아동·청소년의 발달과정에 대한 이해력 높이기

이웃, 학교, 지역사회에 누가 살고 있는지 알아두기

성범죄 알림e 사이트 방문하기

다른 보호자와 아동·청소년 성폭력에 대한 대화 나누기

동네 안전킴이 제도에 참여하기

전문기관으로부터 자녀교육 및 성폭력에 대한 지시과 정보 구해보기

6. 인터넷 안전을 위해 부모가 알아야 할 수칙

인터넷이 가져올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에 대해 자녀와 열린 대화를 나눈다.

대화를 통해 자녀와 패스워드를 공유한다.

스마트폰 등 컴퓨터 이외의 인터넷 사용 수단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자녀에게 휴대폰 번호, 주소, 학교명, 사진 등 개인정보를 함부로 유출하지 않도록 지도하다.

온라인상에서 알게 된 사람은 오프라인에서 만나서는 안 됨을 알려준다.

부모남이나 보호자 이외에는 누구에게도 패스워드를 알려주어서는 안 된다고 알려준다.

참고문헌 : “성폭력으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 - 여성가족부

미국 국립아동지원센터 프로그램

2025. 10. 27

군산동고등학교장


이전글 2026학년도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최종 수강신청 변경기간 안내
다음글 2025. 전북 외국어교육 박람회 Quiz 안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