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 혁신더하기 학교는 대한민국 미래교육(혁신교육시스템)을 실천합니다. |
|||||
---|---|---|---|---|---|
분류 | |||||
작성자 | 김성식 | 등록일 | 21.11.08 | 조회수 | 243 |
첨부파일 | |||||
-신흥 혁신 더하기 학교 운영 계획-
1. 창의적인 융합 인재가 필요한 시대에 적합한 교육과정 편성 2. 10년간 혁신 학교 운영을 통한 교사들의 수업 성찰, 학생 중심의 수업 등의 성과 유지 및 발전 3. 혁신학교 운영의 경험 및 역량을 주변 학교에 확장.적용 4.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교육공동체 구현
- 인간의 지혜, 영성, 융합, 소통, 정의, 공헌 같은 덕목을 갖추도록 교육해야 한다. - 원하는 것을 선별해서 배울 수 있는 맞춤형 교육이 될 것이다.
- 로봇이 인간의 역할을 대신하게 될 것이다. - 좀 더 창의적인 일들을 인간이 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 좌뇌와 우뇌를 고루 잘 사용하는 전뇌적 사고를 하는 사람이 리더로 세상을 이끌어 갈 것이다.
*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인적자원의 속성 5가지 * 1. 창조적 지성이 필요하다. - 참, 거짓을 구별하고, 창의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지적틀을 말한다. 더 나아가 바른 문제의식을 가지고 비판적으로 생각하며 문제를 해결해 나살 수 있는 힘을 가지는 것이다.
2. 바른 세계관이 필요하다. - 세계관을 바르게 수정하고 보완하기 위해서 각각의 개방성을 유도할 수 있는 새롭고 획기적인 교육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이런 교육체계를 통해 다양한 문화에서 살아가는 사란들이 바른 가치와 철학을 가지고 문화 충격와 충돌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3. 전면적 인성이 필요하다. - 인지적 지능에 얽매인 사람들을 정서지능 등 전면적 인성을 개발하여 상호소통의 능력을 기르게 한다.
4. 융합적 의식이 필요하다. - 융합적 의식을 바탕으로 도전 과제의 해결능력, 새롭게 발생하는 문제들의 연구능력, 네트워크능력등을 길러주어야 한다.
5. 글로벌 의식이 필요하다. - 진정한 세계시민은 탁월한 지식으로 자기 것만을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포용력으로 상생과 협업의저변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 미래의 인재의 특징을 보면 인간의 전인격적 인성과 연관 관계가 있다. [출처] 대한민국 국가미래교육전략| |
이전글 | 1학년 수련활동 |
---|---|
다음글 | 신흥 독서캠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