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흥학교 시대 | |
|---|---|
| 1900년 9월 9일 | 전주 서문 밖 다가산(多佳山) 정상에 있는 레이놀즈(W.D.Reynolds) 선교사 사택의 사랑방에서 김창국(金昶國) 소년 1명으로 신학문당(新學問堂)을 열어 호남 최초의 근대교육을 시작하다. |
| 1904년 | 화산리 서원고개에 있는 해리슨(W.B.Harrison)선교사 사택으로 학당을 이전하여, 해리슨 선교사와 그 부인, 최중진, 김필수, 김명식 등 5명이 10명의 학생을 가르치다. |
| 1906년 | 봄에 희현당 부지와 건물을 인수하여 학당을 현재 위치로 이전하여 55명을 가르치다. 교수과목은 국문, 산술, 한문, 성경, 역사, 습자, 체조, 창가, 도화이다. |
| 1908년 | 니스벳(J.S.Nisbet) 선교사가 학교 명칭을 예수학교에서 첫새벽[new dawn]을 뜻하는 신흥학교라고 개칭하고, 현 대강당 자리에 기와집 8칸을 신축하다. |
| 1909년 | 신흥학교 보통과 1회 졸업생 5명을 배출하고 양옥 2층 80평을 신축하며, 고등과 학생도 모집하기 시작하여 보통과와 고등과 학생 숫자는 모두 150명이 되다. |
| 1912년 | 고등과 1회 졸업생 4명을 배출하다. |
| 1919년 | 3.13전주만세운동을 주도하다. |
| 1928년 | 옛 본관인 리차드슨홀을 신축하다. |
| 1930년 1월 25일 | 광주학생운동에 동조하며 일제에 항거하는 전주학생시위를 주도하다. |
| 1933년 | 지정학교로 인가를 받다 |
| 1936년 | 대강당인 스미스홀을 신축하다. |
| 1937년 9월 22일 | 일제의 강압적인 신사참배를 정면 거부하고 학교를 자진 폐교하다. |
| 1946년 | 해방 후 미군정청 초급중학교 인가를 받아 신흥학교 문을 다시 열고 신입생을 선발하여 1949년 신흥초급중학교 1회 졸업생 125명을 배출하다. |
| 1950년 | 신흥고등학교 설립인가를 받아 중학교 3년제, 고등학교 3년제로 분리했으나, 6.25한국전쟁이 발발하여 학생들이 학도의용군으로 참전하다. |
| 1952년 | 신흥고등학교 1회 졸업생 44명을 배출하다. |
| 1962년 | 인톤기념관을 낙성하고 학교법인 호남기독학원을 설립하고 고등학교 24학급으로 인가받다. |
| 1980년 5월 | 5.27신흥민주화운동을 통해 전두환 신군부의 독재와 광주학살 만행에 저항하는 시위를 전개하다. |
| 1982년 | 옛 본관인 리차드슨홀이 화재로 소실되다. |
| 1983년 | 고등학교 신관 3층 연 1,010평을 준공하다. |
| 1989년 | 총 30학급으로 증설되고 1990년 신관을 4층으로 증축하다. |
| 1994년 5월 | 도서관 희현당을 준공하다. |
| 2000년 9월 9일 | 신흥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를 거행하다. |
| 2001년 | 개교100주년기념관을 준공하다. |
| 2002년 12월 | 중국 장쑤성(江苏省) 쑤저우(苏州)대학 부속 고급중학교와 자매 결연하다. |
| 2004년 11월 | 캐나다 British Columbia 주 Abbostford Christian 고교와 자매 결연하다. |
| 2011년 2월 | 창조관과 급식실(오병이어관)을 준공하다. |
| 2011년 6월 | 일본 구마모토현(熊本県)루테루(ルテル)고교와 자매 결연하다. |
| 2012년 2월 | 캐나다 British Columbia 주 Surrey Christian 고교와 자매 결연하다. |
| 2012년 3월 | 혁신학교를 시작(2023년 현재, 혁신더하기학교 운영)하다. |
| 2016년 6월 | UNESCO학교 국제네트워크에 가입하다. |
| 2018년 6월 | 대한적십자사 전북혈액원과 MOU를 체결하다. |
| 2020년 10월 | 개교 120주년기념 심포지움(선교·교육·학생운동)을 개최하다. |
| 2022년 9월 | 신흥고등학교 제16대 김병호 교장 취임하다. |
| 2025년 현재 | 2025년 현재 125년간 신흥학교 졸업생 5만여 명을 배출하다. |
